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채해병특검, 정면돌파”…羅·尹 “본인 특검도 받나”-元 “수사기관 왜 있나” [이런정치]
채해병 특검법, 與 7·23 전당대회 쟁점 급부상
비판 의식 한동훈 “민주당안 尹거부권 명분 있다”
“반윤 당대표, 당정관계 파탄-尹탈당 원하냐”
국민의힘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한 (왼쪽부터)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연합]

[헤럴드경제=김진·신현주 기자]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에서 ‘채해병 특검법’이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당권 출사표를 던진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대표가 되면 국민의힘에서 진실규명을 할 수 있는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히면서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 결과가 우선’이라는 기존 당정 입장에 배치되는 발언은 수평적 당정관계 재정립을 위한 포석이자 ‘민심 20%’를 공략한 차별화로 해석됐지만, 당장 “한동훈 특검도 받을 것이냐”는 경쟁주자들의 견제구로 이어졌다.

한 전 위원장은 24일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채해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보훈과 안보에 관한 특성, 그걸 바라보는 국민들의 민심, 그리고 그동안 몇몇 경우에 있어 저희가 아쉬운 설명이 있었고, 충분히 설명할 기회를 실기했다는 점들을 감안하면 단순하게 법적인 논리를 가지고 ‘특검은 안 된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전날 당대표 출마 선언 기자회견에서 밝힌 ‘원칙적 찬성’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한 전 위원장은 당시 공수처 수사와 관계 없이 대법원장과 같은 ‘제3자 추천’ 특검법 발의를 공약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제가 당대표가 돼서 특검법을 새로 발의하게 되면 시간이 조금 걸린다. 그전까지 공수처 수사는 당연히 끝날 것”이라며 “조건을 달지 않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것으로써 이 문제를 정면돌파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 자신의 제안이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이 22대 국회에서 재추진하는 채해병 특검법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 전 위원장은 “(야당 안은) 선수가 심판을 정하는 구도”라며 “그건 국민에게 도움이 안 된다. 이런 법을 저는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권이 추진하는) 그 법에 대해서는 거부권을 행사하고, 그 거부권을 우리 당이 전폭적으로 지지할 충분한 명분이 있다”고도 했다. 전날 “순진한 발상이고 위험한 균열(나경원)”, “민주당 당대표 출마 선언으로 착각할 정도(윤상현)” 등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쟁주자들은 수위를 높인 공세를 이어갔다. 5선의 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야당은) 진실 규명엔 아무런 관심이 없고, 소위 민주당 쪽에서 말하는 대통령 탄핵으로 가기 위한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한동훈 특검도 야당이 발의했는데 여론조사가 높으면 특검을 하시겠습니까”라고 반문했다. 5선의 윤 의원도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동훈 특검법은 국민적인 의혹이 없는가”라며 “(여론조사에서) 50% 이상이 찬성하는데, 한동훈 특검법을 받을 것이냐”고 했다. 윤 의원은 “‘반윤(반윤석열)’으로 만약 당대표가 되면, 매번 이런 식으로 당을 운영해 나갈 것인가”라며 “당정관계가 파탄 나고, 윤석열 대통령의 탈당을 원하는 게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같은 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정치적 의혹이 다 특검으로 가면 경찰·검찰, 공수처 등 헌법에서 정해 놓은 1차 수사기관은 뭐 하러 있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원 전 장관은 “정치적 공세 때문에 무조건 특검에서 해결하려는 것보다 사법적 정의, 국가기관의 정상적 기능 면에서 여사라고, 대통령이라고 봐주는 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soho0902@heraldcorp.com
newk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