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북 등 8개 시도 기회발전특구 지정…40.5조 투자
첨단산업부터 금융·문화까지 투자 촉진
엘앤에프, 대구에 2.5조 투자·포스코퓨처엠, 광양만에 1.23조 투자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포항시 블루밸리산단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에서 열린 제9차 지방시대위원회 회의 및 기회발전특구 투자협약식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전국 8개 시도를 제1차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하고 40조원이상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우주항공·바이오·이차전지 등 첨단산업부터 금융·문화콘텐츠 등 서비스 산업까지 투자를 촉진한다는 포석이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20일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제9차 지방시대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심의 의결한 8개 시도는 경북, 전남, 전북, 대구, 대전, 경남, 부산, 제주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상북도의 경우 포항(이차전지 소재), 상주(이차전지 소재), 구미(반도체·이차전지·방산), 안동(바이오) 등의 입지 총 152만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전라남도에서는 목포·해남(해상풍력 터빈), 광양만권(이차전지 소재), 순천(문화콘텐츠), 여수(LNG터미널·수소), 해남(데이터센터단지) 등 125만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대구시에서는 수성구(데이터센터·정보통신기술·소프트웨어), 달성군(이차전지 소재·전기차 부품), 북구(전기차·로봇 부품) 등 82만7천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전주(탄소섬유), 익산·정읍(동물용 의약품·건강기능식품), 김제(자동차부품·특장차) 등이 위치한 입지 88만5천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이밖에 대전시(방산·바이오), 제주특별자치도(우주항공), 부산시(금융), 경상남도(해상풍력 구조물) 등도 기회발전특구로 낙점됐다.

이 같은 특구 지역에서 투자기업과 지방정부 간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차전지 소재 업체 엘앤에프는 대구에 2조55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양극재·음극재 공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 포스코퓨처엠은 전남 광양만에 1조2천3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소재 생산공장을 세운다. 포스코퓨처엠은 2025년까지 전남 광양 율촌 제1산업단지에 연산 5만2500t 규모로 하이니켈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SK오션플랜트는 경남에 약 1조원을 들여 해상풍력 발전용 하부구조물을 생산하는 공장을 신설한다.

아울러 정부는 이 같은 기회발전특구에 투자하는 기업들을 위한 추가 인센티브도 마련할 방침이다. 기회발전특구로 이전해 오는 기업의 경우 가업상속 공제를 받는 대상을 연매출 5000억원 미만에서 1조원 미만 기업으로 확대한다.

공제 한도도 최대 6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늘린다. 또 기회발전특구 내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추가 우대하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기회발전특구는 지역 내 신규투자뿐만 아니라 예정된 투자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며 "지방정부가 각 지역의 상황에 맞게 깊이 고민하고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중앙과 지방이 긴밀히 협의해 기회발전특구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