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6년까지 기술수출 3건 달성”...CJ바이오사이언스 AI혁신 청사진
‘2024 뉴비전 선포식’ 개최
“후속 파이프라인개발 가속 목표”

CJ바이오사이언스가 ‘AI(인공지능)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전환한다고 20일 밝혔다. 3년 내 기술수출 3건 달성이 목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2024 뉴 비전 선포식’에서 AI에 기반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로 신약개발, 웰니스 사업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비젼을 발표했다. ‘온리원(ONLYONE) 치료제와 솔루션으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한다’는 새로운 미션도 내놨다. 치료부터 예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다.

천종식(사진)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는 “CJ바이오사이언스는 지속적인 임상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와 AI 관련 역량을 축적했다”며 “새로운 AI 시대를 맞아 디지털에서 인공지능으로 전환(AX)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비전 선포와 함께 AI기술이 집약된 ‘이지엠(Ez-Mx) 플랫폼’을 고도화해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신사업을 발굴한다.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이지엠 플랫폼은 신약후보 및 바이오마커(생체 지표) 발굴에 활용된다. 임상의 모든 단계에서 예측 정확도를 높여 연구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임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이지엠 플랫폼을 통해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핵심 파이프라인인 CJRB-101은 함암제 키트루다와 활용해 폐암, 두경부암 등을 치료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1·2상을 동시에 진행 중이다. 미국에서는 올해 3분기부터 임상을 시작한다. 다국가 임상도 시작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101로 약 56조 규모로 예상되는 폐암 시장을 우선 공략한다. 퇴행성 뇌질환(CJRB-302), 염증성 질환(CJRB-201) 등 관련 후속 파이프라인까지 개발해 2026년까지 기술수출 3건을 달성할 계획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그간 AI 기술의 핵심 요소인 양질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 집중했다. 의료기관과 공동연구 및 코호트(비교대조군 방식 질병연구) 연구로 쌓은 임상 데이터와 인체 유래 시료 분석 데이터도 보유하고 있다. 향후 AI 전문가를 추가 영입하고, 글로벌 AI 전문가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보유하고 있는 미생물 기반 과학 기술과 AI 기반 플랫폼 역량은 미래 CJ그룹 웰니스 사업의 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 안에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과 연계된 사업 구체화도 논의하는 등 CJ제일제당과의 시너지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국 기자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