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푸틴, 24년만에 방북…포괄적전략동반자 협정 체결할듯
북한도,푸틴 국빈 방문 발표
지난해 김정은 방러 후 9개월 만에 재회
우크라이나 사태 속 북러 군사협력 주목
19∼20일 베트남 방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아무르 지역 블라고베셴스크시에서 약 200km(125마일) 떨어진 치올코브스키 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악수하고 있다. [AP]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한다. 지난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이번 방문을 통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하는 등 북러 관계를 격상시킬 전망이다.

17일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도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국가방문(국빈방문)한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러시아와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은 18일 극동지역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야쿠츠크를 방문한 뒤 저녁에 평양에 도착할 예정이다. 야쿠츠크와 평양은 비행기로 약 3시간 거리다. 그는 19일 북한의 주요 방문 프로그램을 소화한 뒤 베트남도 방문할 예정이어서 그가 북한에 실제로 머무는 시간은 24시간 미만일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7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모스크바 지역 주지사에게 말을 건네고 있다. [AP]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기도 하다. 북한에 외국 정상이 방문하는 것은 북한이 2020년 코로나19로 국경을 폐쇄한 이후 처음이다.

푸틴 대통령은 2000년 러시아 지도자로선 처음 북한을 찾아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북러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지난달 집권 5기를 공식 시작한 이후 가장 먼저 중국(5.16∼17)을 찾았던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5.23∼24), 우즈베키스탄(5.26∼28)에 이어 북한을 네 번째 해외 방문지로 택했다. 2019년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에 응하지 않았던 푸틴 대통령은 이번에는 신속한 북한 답방으로 점점 공고해지고 있는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동부 아무르주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약 200km(125마일) 떨어진 치올코브스키 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갖고 소유스 로켓 발사대를 살펴보고 있다. [AP]

러시아와 북한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작전에 필요한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여러 중요한 문서에 서명할 계획이며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이 협정이 기존 북러 간 체결 문서들을 대체할 것이라며 “당연히 국제법의 모든 기본 원칙을 따르고 어떠한 도발적 성격도 없으며 어느 국가를 직접 겨냥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경제, 에너지, 교통, 국제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비공식 대화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북의 최대 관심사는 양측의 군사협력 수준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인공위성 기술 지원을 시사했다.

특히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이 체결한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에 포함됐다가 한러 수교로 1996년 폐기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을 되살리는 정도의 협의가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양측이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안보 협력에 합의하거나 조약까지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4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외무부 지도부와 회담을 하고 있다. [EPA]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이어 19∼20일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초청으로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양국의 무역, 경제, 과학, 기술, 인도주의적 분야의 포괄적인 전략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키는 문제를 논의하고 국제·지역 의제에 대한 현안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응우옌 푸 쫑 서기장과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 등과 만나 양국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약 20개의 양자 간 문서를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ckim645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