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추가 기소 후 굳어지는 ‘이재명 대표’ 연임론[이런정치]
이재명 대표, 대북송금 의혹 기소로 형사재판 추가
사법리스크 방어 제고 차원 대표 연임 굳는 분위기
전당대회 절차 6~8주, 이르면 이달말 공식화 전망
‘연임은 의지 문제’ 지배적…경쟁후보군 거론 안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에 출석하기에 앞서 취재진 앞에서 입장을 말하던 중 사람들을 향해 조용히 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안대용 기자]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으로 추가 기소된 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표직 연임은 사실상 굳어지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다. 4·10 총선 압승 이후 ‘연임은 의지 문제’란 당내 분석이 이어졌는데, 추가 기소로 사법리스크가 확대되면서 대표 자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전당대회 절차를 감안할 때 이 대표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내달 초에는 차기 당대표 후보로 나서기 위해 일단 대표직을 내려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17일 헤럴드경제에 “아직 대표직 연임 관련 입장을 밝힐 때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말씀 안 하는 것 아니겠나”라며 “이달 말 전후로 입장을 정리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당대표 후보자는 후보자 등록 전까지 지역위원장을 제외한 모든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 이 대표도 대표직을 연임하려면 일단 물러난 후 후보 등록을 해야 하는 셈이다.

때문에 이 대표가 우선 사퇴 의사를 밝히면 대표직 연임을 위한 사실상 공식선언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데, 6~8주 정도 전당대회 절차를 위한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르면 이달 말 관련 입장을 밝힐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당대표 외에도 최고위원과 시도당위원장 입후보를 받아야 하고 시도당 개편도 해야 한다. 오는 8월 18일께 예정된 민주당 전당대회 일정에서 시간을 거꾸로 되짚을 때 ‘연임을 위한 현 대표직 사퇴 시점’이 추정된다는 것이다.

당 내에선 적어도 최근 진행된 당헌 개정 작업이 마무리돼야 이 대표가 사퇴 시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1년 전 당대표직 사퇴’를 정한 현행 당헌에 예외규정을 두는 개정안은 지난 10일 최고위원회의, 12일 당무위원회의 문턱을 넘은 상태다. 이날 중앙위원회의를 통과하면 개정된다. 이 대표의 당대표직 연임 여부 및 2026년 지방선거 공천권, 나아가 궁극적으로 2027년 대선 플랜과 맞물린 당헌·당규 개정 작업이 완료되는 셈이다.

다만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의 경우 이 대표가 일단 사퇴한 이후 출범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이 대표가 연임을 결심하고 전준위를 출범시키고 사퇴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아보일 수 없지 않겠나”라며 “전준위 출범은 일단 이 대표 사퇴 이후가 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 대표의 연임은 4·10 총선 압승 후 친명(친이재명) 인사들을 중심으로 공개 거론되기 시작해 당헌·당규 개정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급물살을 탔다. 이에 더해 최근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 추가 기소로 사법리스크가 높아지면서 기정사실화되는 상황이다. 이미 3개의 형사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재판이 추가된 터라 ‘방어벽’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대표직을 지속 유지하는 것이 낫다는 점도 바탕에 깔려 있다.

대표직 연임은 이 대표 의지에 달렸을 뿐 연임 자체가 어렵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당 내에선 이 대표 외에 당대표 선거에 출마할 경쟁 후보군조차 거론되지 않는 상황이다.

d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