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자장사’로 돈 벌어 투자했는데” 해외사업 실적 미미한 은행들
5대 은행 해외 직원 2500명 육박…네크워크 1265개
5대 은행 중 2곳은 해외 법인서 적자…“시장금리 급등 탓”
서울 한 거리에 주요 시중은행의 ATM기기가 설치돼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이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공격적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실적 측면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5대 은행이 지난해 거둔 순이익 14조원 중에서 해외 자회사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17일 금융감독원 금융정보통계시스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말 기준 해외 임직원 수는 246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의 임직원 수는 2019년 말 2003명, 2020년 2072명, 2021년 2124명, 2022년 2299명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1년 만에 각각 175명, 166명의 임직원을 늘렸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지난해 말 789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나은행이 731명, 우리은행이 556명, KB국민은행이 270명 등으로 뒤를 이었다. 특수은행인 농협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119명으로 5대 은행 중에서는 가장 적었으나, 2019년 말 57명에서 2배 넘게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연합]

은행들은 해외 네트워크도 지속해서 확장해왔다.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본사 직영의 해외 지점 수는 총 62개로 2019년 말의 56개보다 10% 남짓 증가했다. 지난 5년 동안 KB국민은행이 8개에서 9개로, 하나은행이 18개에서 19개로, NH농협은행이 2개에서 6개로 늘었고,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 14개를 유지했다.

지점과 사무소, 출장소를 비롯해 현지 법인과 지점을 다 포함한 전체 해외 네트워크 수는 지난해 말 1265개로 훨씬 많았다. 5년 전의 852개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국민은행이 인도네시아 부코핀은행을 인수하면서 해외 네트워크 수가 2019년 말 40개에서 2020년 말 642개로 급증한 영향이 컸다.

우리은행은 2019년 말 451개에서 지난해 말 469개로 증가해 5대 은행 중 가장 많은 해외 네트워크를 보유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68개에서 170개, 하나은행은 188개에서 197개, NH농협은행은 5개에서 11개로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문제는 빠른 속도로 외형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이에 걸맞은 실적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해외에서 인수하거나 거액을 투자한 현지 법인들의 실적이 미미하거나, 적자를 기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환전소에서 환율이 표시돼 있다.[연합]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이 거느린 해외 종속기업(자회사)의 지난해 '지배기업 지분 순이익'은 총 89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이 각각 적자를 냈다. 국민은행은 중국, 미얀마, 캄보디아 등 3개국에서 각 지분 100%를 보유한 4개 자회사를 통해 지난해 1499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KB뱅크(구 부코핀은행)에서만 1733억원의 순손실이 났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건전성이 악화하고 시장금리가 급등하면서 순이자수익이 감소했다”며 “올해부터 적자 폭이 개선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 달 차세대 전산시스템 개설로 수익성이 높은 리테일과 중소기업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고 덧붙였다.

후발주자인 NH농협은행은 농협파이낸스캄보디아와 농협파이낸스미얀마 등 자회사 2곳에서 지난해 각 32억원의 순손실과 13억원의 순이익을 내 전체적으로 총 1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반면 신한은행은 2022년 4270억원에서 지난해 4820억원으로 순이익을 키웠다. 5대 은행 해외 자회사 순이익의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 하나은행은 320억원 순손실에서 1050억원 순이익으로 흑자 전환했다. 우리은행은 4520억원에서 3320억원으로 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때 나간 대출이 고금리 상황에서 부실 채권으로 돌아오면서 해외 점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