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세론’ 한동훈 등판 초읽기에…원외당대표-조직력-총선책임 견제구 [이런정치]
5선 당권주자 나경원·윤상현, 원외 한계론 힘 싣기
“원구성 협상, 어대한 최대 변수”…“지나친 해석”
‘당심 80%’ 영향권서 조직 한계…이준석 모델 검토
“총선 망친 주범들이”…또 총선책임론 꺼낸 洪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7월 전당대회를 놓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겨냥한 견제구가 당 안팎에서 쏟아지고 있다.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이란 말이 나올 만큼 대세로 자리잡았지만, 대권·당권을 노리는 여권 ‘빅샷’들의 견제는 이어지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이 넘어야 할 산으로는 원외 당대표 한계론, 조직력, 총선 참패 책임론이 꼽힌다.

여소야대 무력감 노린 ‘원외 한계론’

‘원외 당대표 한계론’은 원내 당권주자인 나경원 의원이 불을 지폈다. 5선의 나 의원은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쨌든 싸움의 전장이, 정치의 전장이 국회 중심이다 보니 (원외 당대표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나 의원은 “누구를 겨냥하고, 아니고가 아니다”라고 했지만 사실상 원외이자 정치신인인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일각에서는 나 의원이 한 전 위원장을 황교안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에 빗댔다는 해석도 내놓는다. 나 의원은 장외투쟁을 주 전략으로 삼은 황교안 대표 시절 여야 협상을 이끈 원내대표를 지낸 바 있다.

또 다른 원내 당권주자인 5선의 윤상현 의원도 14일 “지금 국회가 이런 식으로 파행을 겪고, 결국 앞으로 1년 동안은 전부 국회 내에서 싸움이 이뤄진다”며 원외 당대표 한계론에 공감했다. 윤 의원은 “국회 안에서 원내 전략을 짜야 하면 원내 당대표가 좋나, 원외 당대표가 좋은가. 그런 면에 있어서 나경원 의원도 말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당 내에서는 22대 국회 전반기 원 구상 협상에서 거대야당의 벽을 실감한 의원들이 원외 당대표 한계론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동훈 대세론의 최대 변수는 앞으로 한 달 간 여야 원 구성 협상 진행상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론도 존재한다. 한 재선 의원은 “지나친 해석이라 본다”며 “원내 인사가 온다고 해서 없던 뾰족한 수가 생기겠나”라고 했다. 원외 당대표 한계론에 대해 한 전 위원장의 핵심 측근인 장동혁 원내수석대변인은 14일 기자들을 만나 “한 전 위원장을 우리 당이 어려웠을 때 비대위원장으로 모셨을 때, 그때도 원외 인사였다”며 “그때는 원외가 괜찮고 지금은 원외가 안 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당직 묶인 지역구 측근…원외·비례 중심 친한계

당원 표심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당대회에서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 비례대표 국회의원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친한계(친한동훈계) 구성도 보완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앞서 이번 전당대회에 ‘당원투표 80%-일반여론조사 20%’ 룰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는데, 민심으로만 승리를 노리기 어려운 ‘당심 영향권’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해 영남의 친윤계(친윤석열계) 재선 의원은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한 전 위원장을 지지한다고 해도, 현역 의원을 중심으로 선거에 임하는 영남 당원들의 화력을 당할 수가 없다”며 “당원 수와 결집도에 있어 영남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라고 말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 [연합]

이는 한 전 위원장이 당원 수와 조직력에 있어 ‘영남의 벽’에 부딪힐 것이란 해석이다. 한 전 위원장과 가까운 인사들 중 지역구 국회의원으로는 재선의 장동혁(충남 보령·서천) 의원과 김형동(경북 안동·예천) 의원, 초선의 정성국(부산 부산진갑) 의원이 꼽힌다. 장동혁 의원은 원내수석대변인, 정성국 의원은 원내부대표를 맡고 있어 전당대회에서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전면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 외 인사들은 지난 총선 수도권에 출마한 원외 인사 또는 비례 의원이다.

한 전 위원장 측이 2021년 6·11 전당대회 당시 이준석 당대표 후보의 ‘3무(사무실·문자·차량 없는) 선거’ 모델 차용을 고심하는 이유도 조직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계파색이 옅은 영남의 한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이 초선이나 원외 위원장이 아닌 중진 현역과 접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

‘총선 참패 책임론’ 꼬리표

한 전 위원장이 총선 참패 책임론을 뒤집을 메시지를 갖고 나올지도 관건이다. 여권에서는 친윤계를 중심으로 한 전 위원장의 총선 구호였던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한동훈 책임론’을 공개적으로 주장해 온 홍준표 대구시장은 16일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총선을 망친 주범들이 당권을 노린다고 삼삼오오 모여 저리 난리치니 참 뻔뻔하고 어이없는 당이 되어가고 있다”고 또 다시 한 전 위원장을 비판했다. 홍 시장은 “총선 망치고 지방선거 망치면 차기 정권 재창출 할 수 있겠나, 그냥 이재명에게 나라 갖다 바치는 것 아니냐”고 했다.

한 전 위원장은 당정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메시지 대신, 총선을 앞두고 띄웠던 ‘정치개혁’을 이번 전당대회에서 다시 띄우는 방안에 무게를 실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위원장은 비대위 출신 인사와 만남에서 영남 현역 중심의 당 운영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지구당 부활’을 포함한 정치개혁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한다.

한 전 위원장은 총선 공약으로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포기 ▷금고형 이상 확정시 재판 기간 세비 반납 ▷당 귀책 사유로 치러진 지역 보궐선거 무공천 등 정치개혁 시리즈를 내놓은 바 있다.

soho090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