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의대 교수들 “환자엔 죄송·휴진은 계획대로”… 전면휴진까지 D-3
강희경 비대위장 첫 마디 “환자들에게 죄송”
“휴진 철회 조건,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상설협의체 구성”
“한덕수 총리·보건복지부와도 소통하고 있어”
14일 오후 서울의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서울대 의대 교수들과 서울대 병원 교수들이 모여 ‘중증 환자 치료에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예정대로 17일부터 전면 휴진은 예고대로 진행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를 향해선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행정명령 취소를 약속할 경우 휴진 재검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이들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 정부측 인사들과 만났다고도 했다. 종합하면 ‘총리를 만났어도 해법을 못찾았고, 환자들에겐 미안하나 휴진은 예정대로’라는 것이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입장이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게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서울대병원을 믿어오신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게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도 강 위원장은 “정부 측에 근거와 협의에 기반해 의료정책을 수립할 것을 약속해달라고 요청해왔으나 더 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다”며 휴진 배경을 설명했다.

비대위는 오는 17일 이후 전면 휴진을 하는 것엔 변함없으나, 중증·희귀질환 환자의 진료는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했다. 강 위원장은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루어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

강 위원장은 질의 응답에서 휴진 철회의 조건을 말하기도 했다. 강 위원장은 “전공의에게 내려진 모든 명령을 취소하고, 의정상설 협의체를 만든다면 휴진 철회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강 위원장은 “전공의들이 행정 처분 등을 취소한다고 돌아오리라고 생각하진 않는다”면서 “우리가 생각할 때 최소한의 조건이 처분 취소가 되어야지 않을까하고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지난 11일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났다고도 전했다. 국무총리 뿐 아니라 보건복지부와도 소통을 하고 있다고 보탰다. 다만 이날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기자회견은 골자는 ‘휴진은 예정대로’에 맞춰져 있었다. 그간 총리를 포함한 정부측과의 협상에서 뚜렷한 돌파구를 마련치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강 위원장은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정부측과 만나 협상이 진행중이라 밝힌 것이 ‘의협이 단일창구’라는 의협의 주장과 모순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의협이 전체 단일 창구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면서도 “위의 만남은 서울대병원 휴진에 한한 것이었다”고 부연했다.

비대위는 또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 노조측에는 “과로로 순직하지 않으려면 사직할 수밖에 없는 교수들에게 지금의 일그러진 진료를 지속하라 강요하지 마시고, 정책 결정권자들에게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는 공공의료를 먼저 강화하라고 해달라”고 촉구했다. 서울대 병원 노조측은 “의사 교수들의 휴진을 반대한다”며 휴진 일정 조정 실무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해둔 상태다.

비대위는 정부를 향해선 “전공의 수련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부당한 노동환경과 허술한 수련환경이 아닌 전문의 중심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달라”며 “대통령께서 약속하신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요구했다. 비대위는 또 상시적 의정협의체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 달라고 강조했다.

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