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유 소비량 줄어도 수입은 ↑…유업계 “경쟁력 하락 걱정”
2026년부터 미국·유럽산 유제품 관세 철폐
올해 우윳값 인상 전망…인건비·사료비 영향
유업계, 건기식·영양식 등 매출 다변화 나서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우유가 진열되어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우유 소비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국내 유업계가 생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2026년부터 미국·유럽산 유제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서 국산 유제품의 경쟁력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0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국내 우유 소비량은 2021년 444만8459t(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22년 441만490t, 2023년 430만8350t으로 줄었다. 저출산과 먹거리 다변화 영향으로 우유 소비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멸균우유 수입량은 증가세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멸균우유 수입량은 2020년 1만1413t에서 2023년 3만7361t으로 3년 만에 3.3배 증가했다. 멸균우유는 국산 우유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영양 성분의 차이가 없어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우유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커피전문점, 제빵업계 등에서 수요가 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멸균우유 수입이 늘고 있지만, 국산 우윳값은 올해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낙농계,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1일부터 이달 말까지 원유 가격 결정을 위한 소위원회를 개최한다. 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2023년 우유 생산비는 전년보다 ℓ당 44.14원(4.6%) 오른 1002.85원이었다. 사료비, 인건비 등이 오른 만큼 올해도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점쳐진다.

2026년 미국·유럽산 유제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 국내 유업계 타격은 더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미국·유럽산 우유, 치즈 등에 대한 관세율은 11~13% 수준이다. 이는 매년 단계적으로 하락해 2026년 이후에는 0%가 된다.

국내 유업계는 디저트, 건강기능식품, 영양식 등으로 매출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먼저 서울우유는 디저트마케팅팀 전문 조직을 별도로 두고 아이스크림, 밀크티, 커피, 떡, 베이커리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2021년 건강기능식품 발효유 제품인 ‘이너케어’를 출시하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뛰어들었다. 매일유업은 2021년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는 자회사 매일헬스뉴트리션을 설립했다. 내부에서는 메디컬푸드사업부가 환자식, 고령친화식 제품 생산을 맡아 매출 다변화를 노리고 있다.

유업계 한 관계자는 “저출산으로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해외 제품과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내 유업계가 생존을 위한 다양한 사업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mp125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