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최대 ICT·과학기술 축제 개막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
대전 카이스트서 성황리 개최
재계·학계·정계 3000여명 참석
조수미, AI와 펼치는 합동 공연
지드래곤, ‘엔터테크’ 미래 선사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국내 최고의 ICT·과학 행사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가 5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화려한 막을 열었다. ‘신인류가 온다’는 주제로 꾸며진 이번 행사에는 ‘천재 아티스트’지드래곤,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 박사와 인공지능(AI)이 선사하는 최고의 공연을 보기 위해 학계, 기업, 학생 등 3000여명의 구름 인파가 몰렸다. 참석자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대전=임세준 기자

“신인류의 시대가 온다.”

파격적인 도전과 실험으로 음악의 한계를 뛰어넘는 ‘천재 아티스트’ 지드래곤이 과학기술과 음악예술의 조화, ‘엔터테크’의 미래를 선사했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 소프라노 조수미 박사와 인공지능(AI)이 펼치는 세계 유일 합동공연엔 행사장을 가득 채운 3000여명의 관객이 뜨거운 박수로 화답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국내 최고의 ICT·과학 행사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가 5일 카이스트(KAIST)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화려한 막을 열렸다. ‘신인류가 온다’는 주제로 최고의 강연자와 다채로운 공연으로 꾸며졌다.

가장 먼저 ‘미래의 기원, KAIST의 전략’이란 주제로 강연에 나선 이광형 KAIST 총장은 ‘신인류의 출현’으로 ▷유전자 편집 ▷바이오닉스 ▷인공지능을 꼽았다. 이 총장은 “국가 발전을 위해 이 같은 분야에서 전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며 ‘휴머니즘 2.0’을 기반으로 한 국가 간의 연대 등을 제시했다.

이 총장은 교수 시절부터 창업을 독려, 다수의 1세대 벤처 창업가를 배출시킨 ‘한국 벤처창업의 대부’다. 빠르게 진화하는 AI 생태계에서 한국만의 잠재력과 경쟁력을 설파하는 ‘AI 선구자’이기도 하다.

이어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무한한 가능성의 AI, 다양성·안전·소버린(Sovereign) AI’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최 대표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를 비롯, 네이버의 전체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AI와 데이터, 검색 등 네이버의 핵심 기술을 극대화해 네이버의 양적·질적 도약을 이뤄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적 로봇공학자 오준호 레인보우로보틱스 설립자는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이라는 주제로 로봇 기술의 현 주소와 미래를 설파했다. 특히, 이날 오 설립자는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 이동형 양팔로봇 ‘RB-Y1’ 등과 함께 무대에 올라 직접 첨단 로봇 기술을 선보였다.

오 설립자는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출신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가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이 주최한 로봇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세계적인 로봇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숏폼의 세계화를 선도하는 틱톡의 사토 요이치 아태 운영 제너럴매니저는 이날 특별히 글로벌 인플루언서 3인(누라 이자티, 챔보, 릴리언니)과 함께 강연에 나섰다. 그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화돼 있고 쉽게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 창의적이고 재능 넘치는 콘텐츠를 끊임없이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숏폼 등 콘텐츠 분야의 혁신적 변화와 크리에이터의 미래를 두고 생생한 경험담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들은 “창의성과 영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거나 기존 트렌드를 바꾸곤 한다”며 “콘텐츠를 통해 세상에 작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에 기여하고 싶다”고 전했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 소프라노 조수미 박사의 공연 및 특별 강연도 백미였다. 조 박사는 ‘조수미공연예술연구센터’를 설립, AI 기반의 음악 합주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3에서도 세계 최초로 AI와의 합동 무대까지 선보였다. 올해에도 한층 진화된 AI와의 무대를 선사, 참석자들이 뜨거운 박수로 화답했다. 행사 마지막에는 올해 하반기 컴백을 앞둔 지드래곤과 이광형 KAIST 총장,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 등이 ‘엔터테크의 미래’란 주제로 함께 무대에 올랐다. 특히, 지드래곤은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4에 참석했던 소회, 엔터테크에 따른 음악계의 변화 등을 두고 생생한 경험담을 전했다.

이 총장은 “엔터테크의 핵심이 바로 아티스트와 팬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술”이라고 강조하며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무대 기술 역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창합성 ▷사람·AI 협연 기술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 등 KAIST가 연구 중인 분야들을 소개했다.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는 ICT·과학 분야 전문가, 학계 및 기업인, 정부 관계자뿐만 아니라 학생과 일반인들이 모두 참석하는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ICT·과학기술 행사다.

대전=김상수·박세정 기자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