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企 졸업해도 세제혜택 5년까지…중견기업 성장 사다리 만든다
정부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방안’ 마련
유망 중기 100개 3년간 집중 지원
M&A·가업승계 인센티브…신사업 육성
정부가 창업·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사진은 판교 테크노밸리 전경. [헤럴드]

중소기업을 졸업하더라도 세제상 중소기업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기간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된다. 코스피‧코스닥에 상장된 중소기업은 2년간 유예기간을 추가, 최대 7년까지 지원받는다.

정부가 창업·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혁신 생태계 구축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경제활력이 약화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과 성장 동력을 기업의 스케일업(Scale-up)을 통해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3일 서울 정부 세종로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하기 위한 성장사다리 1호 대책으로,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마련됐다.

우선 졸업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기준을 넘어도 세제상 중소기업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는 유예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한다. 코스피‧코스닥에 상장된 중소기업은 2년간 추가 유예기간을 둬 최대 7년까지 중소기업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유예기간이 지나 중견기업에 진입한 기업에 대해서는 최초 3년간 높은 R&D·투자세액공제율을 적용하여 기업의 성장유인을 제고할 계획이다.

유망 중소기업 100개를 선정해 3년간 집중 지원하는 가칭 ‘성장사다리 점프업 프로그램’도 신설된다. 전직 기업인, 민간 투자기관 등으로 민간 전문가 네트워크 풀을 구성하고, 전담 디렉터를 매칭해 기업별 맞춤형 스케일업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다양한 성장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기업 당 최대 2억 원 한도 내에서 제공, 바우처 한도 내에서 M&A, 해외진출, 재무관리, 특허, R&D 등 성장에 필요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출, 인력, R&D, 융자·보증 분야 정부 지원 사업 우선선발, 가점부여 등 기존 정부 지원사업에서 우대 혜택도 주어진다.

정책금융을 이용하던 중소기업을 중견기업 전용 저리대출(산은+시중은행 6조원)‧전용펀드(시중은행+민간 5조원)로 연계 지원한다. 기업이 성장 과정에서 공공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록 관련 인프라도 강화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시작으로 ‘업종별 스케일업 대책’, ‘벤처투자 활성화 방안’ 등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및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마련하고, 역동경제 로드맵과 연계해 지속 점검‧보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재훈 기자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