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유명女가수 콕 집었다 “노래 듣지도 부르지도 말라” 무슨 일
가수 김연자 [초이크리에이티브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북한 당국이 최근 트로트 가수 김연자의 노래를 듣지도, 부르지도 못하고 하라는 사실상 '금지령'을 사법기관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지난 20일 "최근 도내 사법기관들에 남한 가수 김연자의 노래를 듣지도, 부르지도 못하게 하라는 비준과업(김정은 지시)이 떨어졌다"며 "노래 유행을 금지하려고 가수 이름까지 지적한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김연자의 노래가 금지 대상이 된 데는 사회적으로 가장 많이 불리는 노래고, 주민들에게서 인기가 높은 노래이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고 RFA는 분석했다.

소식통은 "김연자의 노래는 가사 내용과 창법에 있어 북한 주민들의 정서와 잘 맞아서 마음속 깊이 자리 잡고 있다"며 "많은 주민이 김연자의 노래를 18번으로 부른다. 그렇기에 그의 노래를 없애라는 방침이 내려온 것"이라고 했다.

다만 "높은 인기를 누리는 김연자의 노래를 원천적으로 없애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김연자는 지난 2001~2002년 평양에서 열린 '제19·20차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에 참가, 한국 가수로는 처음으로 북한에서 단독 공연을 열었다.

김연자의 팬으로 알려진 김정일 북한 전 국방위원장이 당시 특급 열차를 보내 그를 함흥 별장에 초대한 적도 있다.

김연자는 북한 순회공연까지 제안받았지만 이는 결국 성사되지는 못했다.

김연자는 1974년 15세에 '말해줘요'로 데뷔한 이래 1988년 서울올림픽 찬가 '아침의 나라에서'를 비롯해 '수은등', '천하장사', '10분 내로', '진정인가요' 등 숱한 히트곡을 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일본에 진출해 '엔카의 여왕'으로 불리며 현지 연말 간판 음악 프로그램 NHK '홍백가합전'에 3회 출연하는 등 원조 한류스타로도 활약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