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중 갈등 길어지자…중국 정부 “국산 반도체 비중 25%로”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권고
지난달 중국 중부 허난성 정저우에 있는 중국 전기차 기업 BYD 공장에서 근로자가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의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신화통신]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중국 정부가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자국산 반도체 사용 비중을 내년까지 최고 25%까지 높이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반도체 국내 조달 비중은 더 높아질 전망이며 최종적으로는 앞으로 몇 년 내로 외국산 자동차 반도체를 모두 중국산으로 대체하는 게 목표라고

중국 산업정보기술부는 상하이자동차그룹(SAIC)과 비야디(BYD), 동풍자동차, 광저우자동차그룹(GAC), FAW 등 자동차 제조사들에 내년까지 자동차 관련 반도체 국내 조달 비중을 20~25%로 늘리도록 요청했다. 이런 가이드라인은 중국이 미국과 반도체 산업을 두고 갈등을 빚으면서 자국 내에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나왔다.

중국에서는 1년에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의 약 3분의 1인 3천만대 정도가 팔리지만 중국산 반도체 조달 비중은 약 10%에 불과하다.

소식통은 정부가 이 가이드라인을 강제하지는 않고 있지만 여러 보상이나 신용 분야 혜택을 감안하면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5% 조달 비중은 자동차 한 대당 중국산 반도체 비중과 기업 총조달 비용에서 중국산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모두 의미한다.

중국은 또 전자제어장치와 디스플레이, 충전 공급장치 등 기타 전자부품의 중국산 비중도 늘리려 하고 있다고 일본 경제매체 닛케이 아시아가 전했다.

각종 센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 전원 관리 등 자동차에 쓰이는 대부분의 반도체는 최첨단 제품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체도 이번 가이드라인으로 혜택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중국 업체들은 그동안 자동차 관련 반도체를 적극 생산하지 않아 왔다. 대신 인피니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XP, 르네사스 등 서구와 일본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했다.

전기차로의 전환도 중국 내 반도체 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의 안토니아 흐마이디 수석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업계는 아직 공급망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이 신규업체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좋은 시기"라고 말했다.

bin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