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영호 “北 통전부,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명칭 변경…심리전 중심”
“인도적 사안 대응 위한 남북간 연락채널 복구돼야”
文회고록에 “2차 세계대전, 히틀러 신뢰했다 발발”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 회담장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20일 국가정보원의 카운터파트인 북한의 통일전선부가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남북관계관리단 회담장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갖고 “지난해 말 이후 북한은 2국가론을 주장하며 ‘통일 지우기’를 진행 중이고, 아직 북한이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으나 ‘통일전선부’ 역시 ‘노동당 중앙위 10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심리전 중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이름은 바꾸었지만 북한의 대남 전략에 기본적인 노선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정부는 원칙에 입각해 남북관계를 정립하면서도 남북간 접촉을 유지하고 관리해 나가는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정부는 그동안 북한의 도발과 불법적인 행태에 단호히 대응하면서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남북 간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입장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고 밝혔다.

이어 “아울러 남북간 대화 채널을 복원하고 북한 주민에게 통일의 희망을 줄 수 있는 인도적 사안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취임 이후 종교 분야 등 민간과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여러 분들을 만나서 여건을 탐색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이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라며 “북한 당국이 긴장 조성 행위를 중단하고 구호뿐인 ‘인민대중제일주의’가 아닌 대화와 행동을 통한 민생개선에 나서길 촉구한다”고 했다.

김 장관은 이와 관련해 “현재 남북 간 대화 제의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남북 사이에 최소한 인도적인 사안의 해결이나 재해 및 재난 대응을 위해 남북간 연락채널은 군사적 사항과 무관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며 “당장 장마철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해서라도 북한이 일방적으로 차단한 연락 채널 복구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확고하게 억제체제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북한에 대한 제재를 독자제재, 국제사회와의 제재를 통해 핵미사일 개발을 단념시키기 위해 중단 없이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이 현재와 같은 도발과 적대적인 자세를 그만두고 하루빨리 대화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남북 대화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 이산가족·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등 인도적 해결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발간된 문재인 전 대통령 회고록과 관련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것은 미국의 의지가 부족했다는 내용인데, 어떻게 평가하는가’라는 질문에 김 장관은 “남북 관계, 국제 정치에서 어떤 사안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의도와 능력”이라며 “북한이 핵미사일을 개발해 우리를 위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데, 그 능력을 무시한 채 북한의 의도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정세를 오판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1938년 뮌헨회답(협정)이 체임벌린 영국 수상과 히틀러 사이에 체결됐다”며 “체임벌린 수상이 히틀러의 의도를 전적으로 신뢰했고 유화정책이 나왔고, 다음해에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고 비유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의 의도와 군사적 능력에 대해 명확하게 구분해서 봐야 한다”며 “북한의 의도를 전적으로 믿는다면 우리에게 대단히 부정적인 안보상의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