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월호·이태원 아픔도 함께’ 5·18 44주년 전야제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4주년 전야제에서 5·18 유가족이 세월호 참사 유가족을 끌어안으며 위로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1980년 5월 대동세상이 펼쳐졌던 광주 금남로에서 사회적 참사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시민들의 연대가 펼쳐졌다.

17일 오후 금남로 일원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4주년 전야제는 오월의 광주가 우리 사회의 슬픔과 고통을 끌어안고 새로운 삶을 향해 함께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줬다.

44년 전 자식을 잃었던 오월의 어머니들이 다시 금남로에 서서 자신들과 똑같은 상처를 간직한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보듬었다.

금남로 전체 공간을 무대로 활용한 전야제는 세상에 없는 자식의 이름을 외치며 인파 속을 방황한 어머니의 이야기를 풀어낸 1인극으로 시작됐다.

군무를 펼친 율동패는 멈추지 않고 나아간 광주의 정신을 바람에 흔들리며 피어나는 꽃잎의 형상으로 표현했다.

이어 무대에 오른 오월의 어머니들은 오랜 시간 견뎌낸 아픔을 가사에 담은 노래를 시민합창단과 함께 불렀다.

3개로 나뉜 무대 위에 각각 선 오월의 어머니들과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은 전야제 인파가 길을 열어준 금남로 한복판에서 한데 모였다.

소복처럼 흰옷을 차려입은 오월의 어머니들은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끌어안고 눈물을 닦아주며 떠난 자식들을 기다리던 그날처럼 언제나 금남로에 서 있겠다고 약속했다.

김형미 오월어머니집 관장은 "생때같은 자식을 잃은 처절한 슬픔을 우리는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여러분의 고통을 깊게 이해하고 존중하며 마주하겠다. 그리고 모든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함께하겠다"고 위로했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국가는 44년 전 저질러서는 안 될 행위를 저질렀고, 10년 전에는 반드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았다"며 "안전한 사회를 만들 때까지 앞으로도 함께 해달라"고 호소했다.

올해 전야제가 펼쳐진 금남로에는 노란색, 보라색 등으로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상징물도 설치됐다.

유가족들의 5·18 전야제 참석은 각각 사건이 발생한 이듬해부터 세월호 참사 10년째, 이태원 참사 2년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 전야제는 제주 4·3, 여수·순천 10·19, 대구 2·28, 부마항쟁 등 국가폭력에 의해 희생된 이들의 가족도 함께했다.

미얀마와 스리랑카의 민주화운동 지도자 등 오월 광주가 연대하는 이들도 금남로에 모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