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공급과잉·관세장벽·엔저 ‘3중고’ 철강업계 현안 점검
지난해 對세계 중국의 철강 수출, 전년대비 40%가량↑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중국의 저가 철강재 유입으로 설 자리가 좁아진 국내 철강업계가 설상가상으로 미국의 ‘대(對) 중국 슈퍼 관세’라는 변수 앞에 놓인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기업 7곳과 한국철강협회가 참석하는 ‘철강 수출입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최근 철강업계는 중국의 철강 수출 증가와 미국, 중남미 등 주요국의 관세 장벽 강화, 엔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지난해 한국은 베트남 다음으로 중국산 철강재를 많이 수입하는 국가에 올랐다.

이런 이유 등으로 미국은 최근 무역법 301조에 따라 중국산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행 7.5%에서 25%로 인상하기로 하는 등 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다.

이에 앞서 중남미 칠레도 저가 공세로 무장한 중국산 철강으로 자국 철강업계가 조업 중단 등 어려움에 처하자 중국산에 최대 3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업계도 저가의 중국산 철강 공습에 엔저를 등에 업고 경쟁력을 갖춘 일본산 철강 공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일본산 철강재 수입 물량은 561만t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철강업계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중국산 철강 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이 국내 시장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이를 문제 삼아 반덤핑 제소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에는 아직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덤핑 제소 제도란 외국 물품이 정상가 이하로 수입돼 국내 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볼 경우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무역구제책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국내 철강산업에 영향을 미칠 통상 이슈에 대해서는 주요국과 대화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외국 철강사들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