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내년부터 단말기 일체형 디지털 수도 계량기 도입…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 인프라 완료
기계식 계량기 사람이 일일이 현장 확인
오검침 발생해 민원 및 분쟁 소지 높아
서울시가 기존 기계식 수도 계량기를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단말기 기능이 일체화된 디지털 계량기로 교체하는 등 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 인프라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스마트 검침 시스템 개념도.[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가 기존 기계식 수도 계량기를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단말기 기능이 일체화된 디지털 계량기로 교체하는 등 2040년까지 스마트 검침 인프라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검침으로 실시간 물 사용량 데이터에 따른 정확한 수도 요금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기계식 계량기는 사람이 일일이 현장을 방문해 사용량을 확인해야 한다. 수도 계량기가 위치한 여건 또는 상태에 따라 오검침이 발생하거나 수도 요금 관련 민원·분쟁의 소지가 크다.

이에 시는 내년부터 국내 최초로 단말기 일체형 계량기를 도입한다.

시는 앞서 디지털 계량기를 일부 보급했지만, 기존 디지털 계량기는 계량기 설치 후 통신 단말기를 추가 설치해야 했다. 앞으로 설치하는 단말기 일체형 계량기는 단말기와 계량기를 일체화해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도 절감된다.

시는 지난해 단말기 일체형 계량기 요구 규격을 관련 업체에 제공하고, 제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렇게 개발된 시제품은 일정 기간 성능 검증을 거쳐 내년부터 현장에 도입될 예정이다.

시는 우선 지난해까지 수도계량기 12만개를 스마트 검침으로 전환했다.

2030년까지 누적 110만개를 전환하고, 2040년 스마트 검침 인프라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2단계에는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차세대 행정 서비스 개발을 본격화한다.

AI로 각 가정의 물 사용 패턴을 분석해 실시간 이사 정산, 옥내 누수 사전 예방, 정확한 수도 요금심사 및 부과 등 시민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최근 시가 발표한 AI 행정 추진 계획에 발맞춰 4차산업 기술을 수도 행정에도 선도적으로 도입하고자 한다”며 “시민 편의를 높이고 경제적 부담도 덜어주기 위해 디지털 전환을 착실하게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