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가상자산 시장 ‘큰손’은 30대男…1000만원 이상 투자자 67만명 [투자360]
금융위 ‘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국내 가상자산 시총 43.6조…투자심리 회복에 53%↑
일평균 거래규모 24%·이용자 수 6%↑…"영업종료 사업자 늘어 주의 필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의 서울 강남센터 시세 전광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작년 하반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 상승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43조6000억원으로 같은 해 상반기보다 5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국내 22개 거래소와 7개 지갑·보관업자를 조사해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앞두고 작년 하반기 가상자산 투자심리가 회복하고 가격이 상승하면서 같은 해 상반기 대비 거래규모, 시가총액, 영업이익, 원화예치금이 모두 증가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작년 6월 말 3만477달러에서 12월 말 4만2265달러로 39% 상승한 바 있다.

일평균 거래규모는 3조6000억원으로 상반기보다 24% 늘었고, 원화 예치금은 4조9000억원으로 21% 늘었다. 일평균 거래 중 원화마켓 거래가 3조5800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24% 증가했으나, 코인마켓 거래는 41억원으로 44% 감소했다.

거래소의 영업이익은 2693억원으로 18% 늘었다. 원화마켓의 영업이익은 2968억원이었고, 코인마켓은 27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거래소 종사자는 총 1665명으로 상반기 대비 250명 감소했다.

신규 상장은 총 159건으로 상반기와 동일했고, 거래중단은 138건으로 20% 증가했다. 전체 가상자산 종목 수는 600종으로 상반기 대비 3.5% 줄었다. 이 중 332종은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었고,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40%인 133종은 한국인이 발행한 가상자산 또는 국내 사업자에서 주로 거래(80% 이상)되는 국내산 가상자산인 이른바 ‘김치코인’이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상반기 대비 34종 감소했고, 김치코인은 50종 감소했다.

가상자산 가격 변동성은 61.5%로 상반기(62.4%)와 비슷하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외부 이전 금액은 38조1000억원으로 28% 늘었다. 이 중 신고사업자에 이전한 금액(트래블룰 적용)이 10조4000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57% 급증했다. 작년 상반기 하락세를 기록했던 거래 이용자는 6.4% 증가해 645만명을 기록했다.

이용자 연령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29.3%), 40대(28.9%), 20대 이하(18.2%), 50대(17.7%), 60대(5.9%) 순대로 이용자 규모가 컸다. 30대(189만명)에서는 남성이 133만명으로 여성(56만명) 이용자 수를 크게 앞질렀다. 대다수 이용자(416만명, 65%)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고,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0%(67만명)로 6월말 대비 2%포인트 증가했다.

작년 말까지 영업 종료를 공지한 가상자산사업자는 코인마켓 사업자 2개사와 지갑·보관업자 2개사였다. FIU는 “영업을 중단한 가상자산사업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므로 해당 사업자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 보관 등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말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