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폭발위험 원천봉쇄 ‘전고체전지’…한국서 첫 상용화 가속도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안정성·기계적 강도 높인 복합 고체전해질 개발
이번 연구를 수행한 임진섭(앞줄 왼쪽) 박사 연구팀.[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존 리튬이차전지와 달리 폭발위험을 원천봉쇄한 전고체전지 실용화를 앞당길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임진섭 박사 연구팀이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계면저항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과 고분자계 고체전해질을 결합한 복합 고체전해질을 제조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갈륨, 루비듐을 도핑한 리튬-란타늄-지르코늄-산소(GR-LLZO)로, 상온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

또한 전위 안정성이 넓어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설계에 유리하고, 황화물계 고체전해질보다 대기 중 안정성도 높다.

연구팀은 ㈜TDL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쿠에트-테일러 공침반응으로 GR-LLZO를 합성하고, 여기에 고분자계 바인더인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VDF-HFP)을 결합했다.

이후 현장 열중합 방식을 도입, 2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복합 고체전해질 박막 제조에 성공했다.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하면 액상의 모노머 용액이 양극에 함침 된 후 열을 가해 고분자로 중합되는 과정에서 복합 고체전해질과 전극 간 높은 계면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의 출력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연구팀이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해 개발한 복합 고체전해질은 두께는 상용화된 리튬 이온전지의 분리막과 비슷한 수준이면서, 70℃의 고온에서 150 사이클 후에도 93.2%의 용량 유지율과 높은 출력 특성을 보였다.

극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파우치형 전고체전지.[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기계적 강도는 7.01 메가파스칼(MPa)에서 9.12 MPa로 향상돼 실험 결과 구부리거나 자르고 불이 붙는 상황에서도 전지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극 제조와 전지 조립 공정이 기존 리튬 이온전지 개발 공정과 유사해 양산라인을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정비용도 줄일 수 있다.

임진섭 박사는 “전해질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리튬 수상돌기 문제를 해결한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목표였다”며 “핵심 기술을 확보한 만큼 전고체전지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후속 연구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A’ 3월 13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