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GM, 황기영·박장호 각자대표 선임…곽재선 회장과 ‘3인 체제’로 간다
임시주총·이사회서 확정
사업부문·생산부문서 책임경영 구축
“경영 효율성 제고, 유연한 경영대응 가능할 것”
박장호(왼쪽부터) KGM 신임 생산부문 대표이사와 황기영 KGM 사업부문 대표이사. [KGM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KG 모빌리티(KGM)가 경기 평택시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갖고 대표이사를 신규로 선임 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해외사업본부장과 생산본부장을 맡았던 황기영 전무와 박장호 전무가 각각 사업부문에서 대표이사를 맡는 체제다. 이에 따라 KGM은 곽재선 회장을 포함해 3인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하게 됐다.

우선 신규로 선임된 황 대표이사 전무는 2023년 KGM에 합류해 해외사업분야에서의 공격적인 신시장 개척과 신제품 출시를 통해 지난해 수출이 9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다. 앞으로 사업부문의 전반적인 업무를 관장하게 된다.

황 대표이사는 앞선 수출 증가로 지난해 2007년 이후 16년 만에 회사를 흑자 전환체제로 바꾼 공로를 인정받았다. 올해 역시 지난 3월 튀르키예와 뉴질랜드시장에서의 토레스 EVX 글로벌 론칭을 시작으로 신흥 시장 공략 확대는 물론 해외 시장 현지 마케팅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4월 수출은 지난해보다 39.4% 증가했다.

신임 박 대표이사 전무는 기존 쌍용자동차에서 생산과 노무 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한 인물이다. 생산 효율성 제고와 완벽한 품질의 제품 생산 그리고 굳건한 상생의 협력적 노사 문화 구축 등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향후 생산부문의 전반적인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KGM은 지난해 모노코크(유니바디) 생산라인과 바디 온 프레임(프레임 바디) 생산라인의 통합 공사를 통해 기존 프레임 차량 전용 라인에서 모노코크와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을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과 설비 효율성 증대는 물론 차종 별 판매량 변동 시 유연한 생산 대응이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또한, KGM은 지난해 2010년 이후 14년 연속 무분규로 노사협상을 마무리 짓는 등 지난 10여년간 노사 상생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협력적인 노사문화를 구축해 왔다.

KGM 관계자는 “해외사업본부와 생산본부장을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함으로써 회사는 경영 효율성 제고는 물론 책임 경영 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신제품 론칭 확대와 공격적인 신시장 개척 그리고 국내외 시장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 강화를 통해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지속 가능 기업으로 성장 발전 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