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분기 GDP 깜짝 성장했지만…KDI “수출 회복·내수 부진” 판단
한국개발연구원 경제동향 5월호 발간
“국제유가 상승,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경제 동향에 대해 “수출 회복세에도 내수는 부진하다”는 기존의 판단을 유지했다.

KDI는 12일 발간한 ‘경제동향 5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양호한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경기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

우선 3월 생산이 다소 조정됐으나 1분기 전체로 보면 반도체 경기 상승에 따른 완만한 생산 증가 흐름이 지속하는 양상이라고 봤다.

3월 전산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증가해 직전 달(1.7%)보다 증가세가 소폭 둔화했다. 반도체(30.3%)가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자동차(-9.0%), 금속가공(-10.0%), 전기장비(-22.6%) 등 주요 업종이 부진해 광공업 생산 증가율은 2월 4.6%에서 3월 0.7%로 둔화했다. 4월 수출은 13.8% 증가해 7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내수 부진은 지속되고 있다고 KDI는 판단했다.

3월 상품소비는 고금리 기조와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승용차와 신발·가방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품목에서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작년 같은 달보다 2.7% 감소했다. 의복(-0.9%)과 음식료품(-1.5%)이 줄었고 국내승용차(-11.3%)와 통신기기·컴퓨터(-12.7%) 등 내구재도 위축됐다.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0% 올랐지만 민간소비와 밀접한 도소매업(-5.9%)과 숙박·음식점업(-3.7%)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

KDI는 설비투자의 경우 극심한 부진에서는 다소 벗어나고 있으나 고금리 기조 등으로 인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봤다. 3월 설비투자는 작년 동월 대비 4.8% 줄어 전월(-0.9%)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건설투자도 둔화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3월 건설기성(불변)은 연초에 일시적으로 높았던 증가세가 조정되며 전월 0.4% 증가했던 데서 2.1% 감소로 돌아섰다.

KDI는 고금리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조적 물가 흐름을 반영하는 근원물가의 상승률은 점차 하락해 물가안정목표(2.0%)에 근접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4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다. 농산물(20.3%)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의 가격 상승이 계속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은 2.3%를 기록해 전월(2.4%)보다 소폭 둔화했다. 다만,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은 향후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KDI는 덧붙였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1.3% 성장한 것과 관련해 “우리 경제의 성장경로에 선명한 청신호”라며 “내수가 반등하며 수출·내수의 균형 잡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