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카드뉴스 게시 통해 바로 알리기 총력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한화가 최근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RSU· Ristricted Stock Unit) 제도에 대해 바로 알리기에 나섰다.
5일 재계에 따르면 한화는 사내 홈페이지를 통해 RSU 제도가 ‘책임경영’과 장기 성과 중심의 의사결정을 위한 보상제도라는 점을 설명하는 내용의 카드뉴스를 게시했다.
한화는 지난 2020년 국내 대기업 중에서 가장 먼저 RSU를 실시한 곳이다. 한화의 RSU 제도는 임직원이 당장의 성과를 현금으로 받는 대신 5~10년 후에 주식으로 지급 받는 형태로 실시 중이다.
카드뉴스를 통해 한화 측은 “이사회나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RSU 대상과 범위, 기간 등을 결정한다”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책임경영의 토대가 될 수 있으며, 임직원은 기업의 성장과 함께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 측은 임직원들에게 RSU를 지급하기 위해선 매년 해당 금액 만큼의 회사 주식을 주식 시장에서 매수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RSU의 경우엔 지금을 위한 신주 발행이 불가능하며, 자사주를 매수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사측은 “RSU를 통해 주가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어 소액주주를 포함한 주주들의 가치 제고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짚었다.
RSU는 2000년대 들어서며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를 시작으로 애플, 구글, 아마존닷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채용하기 시작한 제도다. 한화 측은 “RSU는 지난 20여년 간 미국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해 사용 중인 검증된 제도”라며 “국내에서도 SK그룹, 두산그룹, 포스코퓨처엠, CJ E&M 등 대기업을 비롯해 네이버, 쿠팡, 토스 등 IT 기업에서도 잇따라 도입 중”이라고 했다.
실제로 RSU는 스톡옵션과 달리 지급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양도시점이나 지급시점을 장기로 설정할 수 있어, 임직원의 장기 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화를 비롯한 다른 대기업들이 속속 RSU를 도입하고 있는 이유다.
RSU 바로 알리기에 나선 한화 측 관계자는 “현행 RSU 제도대로 최고경영자(CEO)가 대주주로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10% 대의 지분을 획득하려면 200년이 걸리는 구조”라며 “이론상으로는 얼마든지 상상해볼 수 있지만, 기업의 효율성이나 경영안정성 입장에선 실익이 없는 제도”라고 말했다.
한화는 매년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거쳐 RSU를 지급하고 이를 자체 공시하고 있다.
재계에서도 RSU 제도 자체가 재벌총수 일가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수단이란 지적에 대해 과도한 해석이란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각 임원의 직급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량과 수행 업무의 역할과 책임 등을 종합 고려해 이사회 등 내부 절차를 통해 정해진 기준에 따라 RSU를 지급하는 만큼 엄격한 요건이 적용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면서 “금액의 적정성 문제에 대해선 살펴볼 수 있는 문제지만, RSU 지급 자체를 재벌 총수 일가에게 특혜를 주는 것으로 연결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