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제조업 생산, 25년만에 최대폭 감소
2023년 산업활동 동향 발표
생산 0.7%↑...소비·투자 감소
선행지수 올라 반등 가능성

지난해 제조업 생산이 반도체 불황 영향으로 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고금리·고물가 탓에 소매판매도 2년째 감소했고, 설비투자는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다만, 지난해 12월 반도체 수출이 늘면서 산업생산이 증가세를 유지함에 따라 올해에는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5면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2020년=100)는 110.9로 전년보다 0.7% 증가했다. 산업생산지수는 2021년 5.3% 증가한 이후로 3년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작년 산업생산이 증가한 것은 서비스업 덕분이다. 도소매 등에서 줄었지만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에서 늘어 2.9% 증가했다.

반면, 광공업 생산은 3.8%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 불황 영향으로 제조업 생산이 3.9% 줄며 1998년(-6.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영향이 컸다. 반도체 생산은 5.3% 줄며 2001년(-15.3%) 이후 25년 만에 처음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0.2%) 판매는 늘었지만 비내구재(-1.8%), 준내구재(-2.6%)가 줄어 전년보다 1.4% 감소했다. 2003년(-3.2%)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전년(-0.3%)에 이어 2년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비가 작년과 재작년 좋지 않았던 상황이고 금리나 환율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설비 투자는 2019년(-5.6%)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기계류(-7.2%), 자동차 등 운송장비(-0.4%) 등에서 줄어 5.5%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토목 등 공사실적이 늘면서 7.7% 증가했다. 건설 경기의 향후 흐름을 보여주는 건설수주(경상)는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19.1% 감소했다.

작년 12월 산업생산은 광공업·서비스업에서 모두 증가해 전달보다 0.3% 늘었다. 반도체(8.5%)·자동차(4.7%) 생산 증가로 제조업 생산이 0.6% 늘면서 광공업은 0.6% 증가했다. 제조업의 재고율은 107.7%로 전달보다 8.6%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소매판매는 0.8% 감소해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고, 설비투자는 기계류(8.9%)가 늘면서 5.5% 늘었다.

다만, 올해 우리 경제는 작년의 불황을 딛고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하락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상승했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