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환경부 차관,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방문
환경부, 이차전지 산업 정책 현안 점검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 “환경인프라 확충 등 지원 요청”
임상준 차관 “지원방안 적극 모색”
환경부 임상준 차관(오른쪽)과 포스코퓨처엠 김준형 사장이 포스코퓨처엠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있다. [포스포퓨처엠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포스코퓨처엠은 29일 임상준 환경부 차관이 포스코퓨처엠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을 방문해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 및 주요 임원들과 간담회를 갖는 등 이차전지 산업 정책 현안을 점검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 포스코퓨처엠은 양·음극재 사업 현황과 향후 투자계획을 설명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경인프라 확충과 환경규제 개선 등 환경부의 적극적인 역할과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중국 등 해외에 비해 환경설비 투자비가 높은 만큼 국가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환경설비 투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어 온실가스 감축에 이바지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대출 이자 일부를 보전하는 환경부 녹색정책금융 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녹색 정책금융 사업 추진에 대해 감사하고 실제 집행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공공 폐수처리 및 공업용수 시설 신증설 등 환경인프라 지원에 힘입어 포스코퓨처엠이 국가 이차전지소재산업의 선봉장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에 임 차관은 “관련 정책 현안들을 살피고 산업단지 내 용수 공급, 녹색 정책금융 지원 등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을 적극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은 제철공정 부산물을 가공한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음극재를 제조한다. 중국이 흑연 수출통제에 나서면서 국가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핵심시설로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능력을 8000t에서 1만8000t까지 늘리고, 추가 투자를 통해 생산규모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