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능에 모든 것을 건다? 고3 수능 응시율, 5년래 최고
서울 주요대 정시 확대 여파…반수·재수생도 모두 늘어
지난해 수능일에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 시간을 기다리며 공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지난해 고등학교 3학년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한 비율이 최근 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소재 16개 대학의 정시 비중이 확대된 데다 학생부종합전형 비교과 비중이 축소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최대 승부처를 ‘수능’으로 생각한 학생이 많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2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작년 고3 학생 수 대비 2024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학생은 72.8%로 집계됐다. 최근 5년(2020∼2024학년도) 사이 최고다. 고3 수능 응시 비율은 2020학년도 69.3%, 2021학년도 67.4%, 2022학년도 71.4%, 2023학년도 71.5%였다.

고3 가운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모의평가를 응시한 후 본 수능에 응시하지 않는 중도 포기자 수는 1만8701명으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적었다.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고3 가운데 실제 본 수능을 응시한 비율 역시 93.9%로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다.

고3 학생 수 대비 수능 응시 비율 상승은 이른바 '조국 사태'로 정시 비중이 확대된 여파에 따른 것이다. 2022학년도부터 서울 주요 대학은 정시로 신입생을 40% 이상 뽑고 있다. 수시에서도 서류 심사 등이 대폭 간소화돼 내신이 불리한 학생은 수능에 더 집중하게 된다.

한편 재수생 중에선 반수생이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수생 가운데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하지 않았다가 본 수능에 응시한 인원을 반수생으로 추정할 경우, 지난해 반수생 규모는 8만1898명이다. 6만8188명∼7만4372명 규모였던 2020∼2023학년도와 대비된다.

재수하는 수험생이 늘면서 전체 재수생 대비 반수생 비율은 지난해 52.0%로, 전년보다 1.4%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21학년도(55.7%) 이래 최저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재수생 증가가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통합수능과 연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점수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기보다 바로 재수를 택하는 이들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