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결국 강제수사 나섰지만…‘이선균 수사정보유출’ 면죄부 우려도
인천청·디스패치 압색…최초 보도 언론사는 빠져
이선균 사망 이튿날 “유출 없었다” 발표 뒤
여론 밀려 수사…‘보여주기식 수사’ 우려
마약 투약 혐의를 받았던 배우 이선균(48)씨가 지난해 12월23일 오전 3번째 조사를 받기 위해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 고(故) 이선균 씨 마약 혐의에 대한 수사 정보 유출 의혹을 받아온 경찰이 결국 강제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이 씨 사건을 수사했던 인천경찰청과 수사 내용을 상세히 보도한 연예매체인 디스패치를 압수수색해 자료를 확보한 데 이어, 실제로 수사 정보가 유출됐는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그동안 여론 질타를 받아온 경찰이 보여주기식 수사를 하는 데 그칠 것이란 의구심은 해소되지 않는 상황이다.

24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 22일 이 씨 사건을 수사했던 인천경찰청 마약수사범죄계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앞서 인천경찰청은 지난 15일 수사 정보 유출 경위를 파악해달라며 경기남부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직접 유출 경위를 조사할 경우 공공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타청에 수사를 의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유출된 수사 정보가 이 씨를 극단적 선택으로 내몰았다는 비판이 이어지면서 뒤늦게 조치에 나선 것이란 비판이다.

이 씨가 사망한 채 발견된지 하루 만이었던 지난해 12월28일, 김희중 인천경찰청은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에서 제기한 경찰의 공개출석 요구나 수사 사항 유출은 전혀 없었다”고 단언했다. 당시 인천경찰청은 이에 대한 내부 조사도 진행하지 않은 채였다. 윤희근 경찰청장도 같은날 “경찰 수사가 잘못돼서 그런 결과가 나왔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이후 일부 정황을 포착한 인천경찰청은 내부적으로 감찰을 짧게 진행했지만 감찰 만으로는 강제수사 권한이 없어 수사 의뢰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번 압수수색에서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 소속 직원들의 휴대전화 등 개인 전자장비, 이 씨 마약 투약 사건과 관련된 자료를 다수 확보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를 적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후 압수물 분석을 통해 정보 유출이 실제로 일어났는지 판단, 검찰 송치 여부를 판단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이날 연예 전문 인터넷 언론사인 디스패치에 대한 압수수색도 동시 진행했다. 디스패치는 지난달 28일 기사에 이 씨 이름과 남양유업 창업주 외손녀 황모 씨 등 8명의 이름이 나열된 ‘연예인·유흥업소 종사자 등 마약류 투약 사건 수사진행보고’를 발췌, 첨부했다. 출처를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 1팀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과 언론 양 쪽이 수사 정보 유출 대상으로 의심받는 데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이라며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내사 단계에 있는 이 씨를 ‘L씨’로 최초 보도한 경기신문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뤄지지 않으면서 수사 내용과 방식에 실효성이 있느냐는 비판도 뒤따르고 있다.

이 씨를 협박해 3억5000만원을 뜯어낸 혐의를 받는 전직 배우와 유흥업소 여실장은 재판에 넘겨졌다. 전날 인천지검 강력부는 공갈과 공갈미수 혐의로 전직 영화배우 A(28)씨를 구속 기소했다. 또 기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상 향정·대마 협의로 구속기소된 유흥업소 여실장 B(29)씨도 공갈 혐의를 추가로 적용해 함께 재판에 넘겼다.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