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대 금융지주 “가계대출 증가율 1.5~2.0%로 관리”…금융당국에 보고
5대 지주, 가계부채 현황 점검 회의서 보고
올해 성장률 전망치 4.9% 대비 절반 이하
[123rf]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5대 금융지주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2% 이하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금융당국에 보고했다. 앞서 정부는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범위 내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18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는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가계부채 현황 점검 회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부가 경제성장률 범위에서 가계대출이 관리될 수 있도록 당부했고, 지주별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로 1.5~2.0% 수준을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정부가 전망한 올해 경상성장률(4.9%)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실제로 대출 환경도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부동산 경기가 반등할 조짐을 보이지 않는 데다가 고금리 등으로 대출 수요도 위축했기 때문이다.

지표료 봐도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하고 있다. 지난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 폭은 10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그 전년(8조8000억원 감소)과 비교하면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금융당국은 과거 8년간 매년 80조원 넘게 불어났던 것과 비교하면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붙은 주담대 관련 현수막 [연합]

다만,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GDP) 대비 가계부채 수준이 매우 높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최신 보고서(작년 3분기 기준)에 따르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국가는 조사 대상 34개국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이에 금융당국은 금융권 가계대출을 성장률 내로 관리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일 예정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105.4%에서 2022년 104.5%, 지난해 100.8%(잠정치)까지 2년 연속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6일 열린 브리핑에서 이와 관련 “지금 가계부채가 많다는 건 모두가 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라 줄이긴 줄여야 하는데, 경제에 무리가 안 가게 천천히 줄여야 한다”며 “두 자릿수로도 당연히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로 가계대출 증가세를 2% 이하로 관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우선 성급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대출 수요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등의 내용을 담은 주택 대책을 발표한 영향도 확인해야 한다. 신생아 특례 대출도 변수다. 해당 대출은 조만간 27조원 시행된다. 금리가 1%대인 데다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도 빠진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