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622조 반도체 메가 프로젝트 성공하려면…실행력·지자체 반대 돌파 ‘관건’ [비즈360]
정부 반도체 산업 육성 의지 확인했지만
“팹리스 단지규모 등 구체적 계획 나와야”
외국기업 유치 적극적 의지 드러내 주목
15일 공사가 진행 중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부지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현일·김민지 기자] 정부의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에 대해 업계와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강력한 실행력과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인·허가 권한을 쥐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반대를 넘어서는 것도 과제로 꼽았다.

16일 반도체 업계는 정부가 전날 발표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두고 기존 투자계획의 ‘종합판’으로 정의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반도체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평가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기존에 나온 반도체 투자 계획을 다시 언급함으로써 정부가 지원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관건은 ‘실행력’이다. 2047년까지 총 622조원(삼성전자 500조원·SK하이닉스 122조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계획대로 실제 진행될 지 여부가 가장 중요한 점으로 꼽힌다.

정부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연결고리로 꼽히는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육성을 위해 2026년까지 경기도 판교에 ‘팹리스 집적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안덕근(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6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텔레칩스를 방문해 자동차 반도체 시연 장비 등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에 대해 팹리스 업계는 환영하면서도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빠진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 김서균 한국팹리스산업협회 사무총장은 “팹리스 업계는 그동안 제3판교 내 집적단지 조성을 위해 2만평 정도의 부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줄곧 전달해왔다”며 “이번 발표안에는 구체적인 규모가 담기지 않은 선언적인 수준이어서 앞으로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한 올해 팹리스의 MPW(멀티 프로젝트 웨이퍼) 제작비용을 50억원 지원하기로 했는데 이는 지난해 24억원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MPW는 한 장의 웨이퍼에 다른 종류의 반도체 시제품을 함께 생산해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제품 상용화를 위한 필수 단계로 꼽힌다. MPW가 없는 중소 팹리스 기업은 수백만원의 웨이퍼 한 장을 직접 구매해 테스트 칩을 제작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커진다.

김서균 사무총장은 “MPW 지원 확대는 매우 환영한다”면서도 “현재 MPW 제작 시 기업당 연간 1억원을 지원해주고 있는데 앞으로 하나 만들 때 얼마를 지원해줄지 세부 지원 규모가 빠져 있어 아쉽다”고 지적했다.

팹리스 등 특정 분야에 한정된 계획보다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육성 계획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팹리스 업계 한 관계자는 “IP(설계자산), 팹리스, 디자인하우스, 패키징 등 모든 플레이어들이 골고루 성장해야 생태계가 건전하게 육성이 될 수 있다”며 “정부가 그 부분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체 생태계를 키우려면 국내 기업의 IP나 국내 팹리스를 썼을 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이번 계획을 직접 발표해 중앙정부의 의지를 재차 내비쳤지만 지자체 반대 등을 넘어설 수 있을 지도 관건이다. 자칫 투자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김양팽 연구원은 “앞서 인프라 조성 과정에서 실제로 지자체 반대가 있었던 만큼 이를 어떻게 잘 해결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외국 기업의 국내 유치에 예년보다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낸 점은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동안 국내 기업과의 역차별 우려로 인해 언급을 꺼렸던 부분이지만 정부는 글로벌 톱10 수준의 장비 기업 연구개발(R&D) 센터 유치를 위해 올해 200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현금지원)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는 전년 대비 4배 늘어난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이나 일본이 외국 반도체 기업 유치를 위해 보조금까지 지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이제 적극적으로 외국 기업 유치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joze@heraldcorp.com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