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AI 인재 중 한국은 단 0.5%...범정부 컨트롤타워 필요”
한경협, 한국직업능력연에 의뢰
韓 AI 인재수 22위로 절대부족
“미·중 양성전략 벤치마킹해야”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의 전문 인재 수가 주요 30개국 중 22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AI 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인재 양성 및 영입 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은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일 이같이 밝혔다.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전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수는 47만7956명이며, 이 중 미국이 18만8300명으로 39.4%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인도 7만6213명(15.9%), 영국 3만5401명(7.4%), 중국 2만2191명(4.6%) 순이었다. 한국은 2551명(0.5%)로 30개국 중 22위에 그치며 전문 인재 확보 경쟁에서 크게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석박사 해외 유학생 의존도가 3분의 2로 높다. 스탠퍼드 HAI(Human-Centered AI)의 AI 지수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 분야 미국 유학생 비중은 2021년 박사 68.6%, 석사 65.2%로 그 비중이 늘고 있다.

미국 테크 기업은 고액의 연봉, 연구 개발비를 제공하며 인재를 영입 중이다. 제도적으로 학위를 마친 유학생이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도 있어 유학생들이 졸업 후 미국에서 일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있다. 안보 유망 기술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첫 5년간 미국에 남아 일한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전문 인재를 늘리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 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 학문인 컴퓨터 과학,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가 정책을 추진하고 산발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보고서는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이 국정 과제로 포함된 만큼, 대통령실이 컨트롤 타워가 돼 AI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초중고 AI 교육에서 교육 시수 확대 및 교사 확보를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2018년부터 의무화했지만 초등 5~6학년 17시간, 중학교 3년 34시간, 고등학교 선택으로 운영해 교육이 형식적이라는 주장이다. 또한 초중고 교육 난이도에 차별성이 없어 교육이 체계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AI 교사 확충도 강조했다. 미국은 2011년부터 10년간 10만 STEM 교사 양성을 추진한 덕분에 전문교사 수가 비교적 많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가 현식 교사 중 희망자를 선정해 재교육하는 수준에서 인력 수급 해소를 시도 중이다. 보고서는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신규 교사 임용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해외인재 영입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 AI 인재들이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와 매력적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등으로 세계적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