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0만원 다이슨 드라이기, AS는 왜 이래?" 소비자 불만 급증
찰리 파크 다이슨 무선청소기 사업부 R&D 총괄 부사장이 V12s 디텍트 슬림 서브마린 무선 물 청소기를 소개하고 있다. 김민지 기자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가전 브랜드 '다이슨'과 관련한 소비자 불만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올해 1~10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다이슨 관련 불만 신고는 86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18건)에 비해 66.8%나 증가했다.

사후관리(애프터서비스·AS)에 대한 불만이 538건(62.3%)으로 가장 많았고, 품질 불만 142건, 계약 해지(청약 철회) 관련 70건, 계약불이행 55건 등이었다.

사후관리의 경우 산 지 몇 달 안 된 제품임에도 부품 수급이 제때 안돼 수리가 지연되는 사례가 많았다.

다이슨은 제품을 판매하면서 부품이 없어 수리를 못 할 시 리퍼 제품으로 교체해 준다고 안내해왔다.

그러나 연맹에 따르면, 제품에 문제가 생기면 부품이 없다는 핑계로 수개월을 기다리게 한 뒤 일방적으로 사후관리 정책을 변경해 할인쿠폰을 제공하거나 소액 보상하는 식으로 대응한 사례가 많았다. 사실상 할인을 미끼로 재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다이슨 제공]

품질 보증기간 이내 제품에도 이같은 방식을 적용해 소비자가 불만이 가중됐다고 연맹 측은 설명했다.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제8조 2항의 일반적 소비자 분쟁 해결 기준은 품질보증 기간 이내일 때 소비자가 제품 수리를 의뢰한 날로부터 1개월이 지난 후에도 제품을 인도하지 못하면 같은 종류의 물품으로 교환하거나 환불해야 한다.

품질보증 기간이 지났을 때는 구입가를 기준으로 정액 감가상각하고 남은 금액에 품목별로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 정하는 일정 금액을 더해 환급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이슨은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연맹은 비판했다.

올해 접수된 불만 신고 건수를 품목별로 분류하면 헤어 관련 기기가 572건(66.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청소기 181건, 공기청정기 65건, 선풍기 8건, 스타일러 4건 등의 순이었다.

헤어기기는 전원 불량, 청소기는 급격한 배터리 소모에 따른 짧은 작동 시간, 공기청정기는 소음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