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 노사 ‘격주 4일 근무’ 잠정합의
31일 새벽 3시께 임단협 잠정 타결
창사 55년만에 첫 파업 위기 넘겨
합의안, 조합원 투표 후 최종 합의
포스코 광양 제철소 전기강판 공장 전경 [포스코 제공]

포스코 노사가 격주 주 4일제 도입과 경영성과급 제도 개선의 내용을 담은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이에 따라 창사 55년 만에 직면한 첫 파업의 갈림길에서 극적으로 최악의 상황을 모면했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반년 가까이 공회전을 거듭했고 파업권을 협상의 무기로 확보한 노조가 쟁의 행위를 결의하면서 1968년 창사 이래 첫 파업에 직면했지만, 노사는 12시간이 넘는 조정회의 끝에 결국 잠정 합의하는 데 성공했다.

31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따르면 포스코노동조합과 사측은 이날 새벽 3시께 정부세종청사 중노위에서 열린 최종 조정회의에서 잠정합의에 성공했다. 30일 오후 3시 시작한 최종 조정회의(2차)의 마감시한은 자정까지로, 이 시간까지 노사는 합의를 하지 못해 조정이 중지됐다. 하지만 김태기 중노위원장이 중재에 나섰고 3차 조정회의를 시작, 12시간이 넘는 릴레이 회의 끝에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하면서 합의에 이르렀다.

합의안의 주요내용은 ▷기본임금 10만원 인상(자연상승분 포함 17만원 수준)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비상경영 동참 격려금) 250만원 ▷지역상품권 50만원 ▷격주 4일 근무제도 도입 ▷경영성과금제도·직무급제 도입·복리후생 재설계 등을 위한 TF구성 등이다.

이번 잠정합의안은 전년도 수준을 상회한다. 향후 잠정합의안 수용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과반수가 찬성하면 합의안의 주요 내용은 즉시 시행된다.

앞서 포스코노조는 28~29일 이틀간 투표를 통해 쟁의행위를 가결했다. 찬반투표에서는 75.07%(조합원 1만1145명 중 8367명) 찬성으로 파업 결의안이 가결된 바 있다. 포스코 창사 55년 만에 쟁의행위가 가결된 것은 처음이다.

중노위의 조정으로 포스코가 파업 리스크에서 벗어났지만, 업계는 철강 시황 부진에 따른 수요 부진과 원자잿값 인상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또 다른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철강 시황 둔화세가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원자재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3분기 실적에서도 수요 부진 여파는 고스란히 드러났다.

실제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철강부문 매출은 15조8030억원, 영업이익은 8530억원이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4.5%, 영업이익은 16.5%씩 줄었다.

연일 오름세를 보이는 원자재 가격도 부담 요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철근 생산의 주원료인 철광석 가격은 27일 기준 t당 121.8달러로, 지난해(82.5달러) 대비 32.2% 올랐고, 원료탄 가격 역시 같은 기간 306.8달러에서 350달러로 14% 올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역대급 엔저’로 국내 유입되는 일본산 철강재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포스코를 비롯한 국내 철강업계 수요 확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국제유가 상승으로 산업용 전기요금도 덩달아 오름세를 보이며 원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올해 들어서만 1월과 5월 각각 ㎾h당 13.1원, 8원씩 인상됐다. 김용훈·서재근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