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터넷은행 주담대, 인기 ‘주춤’…7개월 만에 잔액 최소폭 증가[머니뭐니]
인터넷은행 3사 주담대 잔액 증가세 ‘주춤’
“가계대출 확대 주범”…당국 지적에 대출 문턱↑
서울 한 부동산중개사무소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올해 가계대출 수요를 빨아들이던 인터넷전문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최근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확대 주범으로 인터넷은행 주담대를 지적하자, 은행들이 이에 대응해 대출 문턱을 높인 영향이다.

30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의 9월말 기준 주담대(전월세 대출 포함) 잔액은 약 24조9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말(23조3829억원)과 비교해 7125억 늘어난 수치로, 증가폭이 지난 2월(3086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증가 폭은 1월 606억원에서 6월 1조7505억원까지 확대됐다. 그러나 7월(1조2909억원) 이후 8월(1조762억원), 9월(7125억원)을 거치며 규모가 줄었다.

카카오뱅크 오피스 모습.[카카오뱅크 제공]

은행별로 보면 인터넷은행 주담대 증가세를 견인했던 카카오뱅크의 증가폭 둔화가 두드러졌다. 카카오뱅크의 9월말 주담대 잔액은 19조8673억원으로, 8월말(19조3174억원)과 비교해 5499억원 늘어났다. 증가폭은 8월(8667억원)보다 축소됐다. 6월 증가폭(1조4818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케이뱅크 역시 주담대 잔액이 9월 한 달 새 1516억원 늘었다. 9월 증가 폭은 월간 증가 폭이 가장 컸던 4월(324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지난달 5일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토스뱅크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11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신청부터 취급까지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0월 잔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인터넷은행 주담대 잔액이 줄어든 것은 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8월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히며 인터넷은행 주담대를 가계대출 확대의 주 원인 중 하나로 지적한 바 있다. 이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현장점검을 진행하기도 했다.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 안내문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실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인터넷은행은 신파일러(금융거래 이력 부족자)에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는데, 지금과 같은 주담대 쏠림이 제도와 합치되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있다”며 “이런 것도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8월 25일 50년 주담대 상품에 연령 조건을 신설하고, 같은달 30일 주택구입자금 목적 주담대 대출 대상을 무주택자로 한정하기도 했다. 지난달 13일에는 당국 행정지도에 따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만기를 최장 40년으로 제한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출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주담대 증가세도 이에 따라 상당 부분 조정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