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정규직, 3년만에 줄어…정규직과 임금격차는 더 벌어져
8월 기준 비정규직 812만2000명…1년전보다 3만4000명 ↓
월평균 임금 정규직 362만·비정규직 196만…167만원 차이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역대 최대 규모로 늘었던 비정규직 근로자가 3년 만에 감소했다.

그러나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24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비정규직 근로자는 812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만4000명 감소했다.

비정규직이 감소한 것은 2019년 748만1000명에서 2020년 742만6000명으로 줄어든 이후 3년 만이다. 비정규직은 2021년 806만6000명, 지난해 815만6000명으로 2년 연속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7.0%로, 0.5%포인트 낮아졌다.

비정규직을 근로형태별(중복 집계)로 보면 한시적 근로자와 비전형 근로자는 각각 8만9000명, 17만4000명 줄고 시간제 근로자는 18만6000명 증가했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비전형 근로자 내 일일 근로의 건설업 분야에서 (근로자 수가) 많이 줄었다"며 "7월에 집중호우가 있었고 8월에 회복 중이었던 부분이 통계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남성은 9만6000명 감소, 여성은 6만2000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6만6000명 증가했고 50대와 40대는 각각 9만8000명, 1만3000명 감소했다.

60세 이상은 261만9000명으로,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의 32.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통계 작성 이래 해마다 증가해 역대 최대를 경신하고 있다.

이어 50대 20.0%(162만7000명), 29세 이하 19.4%(157만7000명), 40대 16.1%(131만1000명), 30대 12.2%(98만9000명) 순이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0만5000명), 전문과학기술업(3만명), 숙박·음식점업(1만9000명)에서 늘고 건설업(-9만7000명), 도매·소매업(-4만2000명)에서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비정규직 근로자 수와 비중이 모두 줄어든 한 해"라며 "그간의 정책 성과가 일정 부분 발휘됐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66만6000원으로, 2017년 이후 6년째 격차가 증가해 역대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올해 6∼8월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62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만3000원 올랐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5만7000원으로, 7만6000원 증가했다.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비정규직 근로자 안에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커지면 전체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줄어드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76만1000원이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00만7000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300만원을 넘어섰다.

근로형태를 자발적으로 선택한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체의 65.6%로, 1년 전보다 2.8%포인트 늘었다.

그 이유로는 ▷근로조건에 만족한다(59.9%) ▷안정적인 일자리(21.0%) ▷직장 이동(12.1%) ▷노력한 만큼의 수입을 얻거나 근무시간을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7.0%) 순이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현 직장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8개월로, 지난해보다 2개월 늘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28.7시간으로, 0.9시간 감소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국민연금 38.4%, 건강보험 52.6%, 고용보험 54.2%로, 각각 0.1%포인트, 0.9%포인트, 0.2%포인트씩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한국의 임시 근로자(Temporary Workers) 비중은 지난해 27.3%로 나타났다.

영국(5.4%), 캐나다(11.9%), 독일(12.4%), 일본(15.0%), 폴란드(15.4%), 스페인(21.1%)보다 높고 네덜란드(27.7%)보다 낮다.

OECD 임시근로자는 비정규직 근로자 중 반복 갱신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용역근로자,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 가정 내 근로자는 제외한다.

올해 8월 한국의 임시근로자 비중은 26.7%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줄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