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고용률 3%p ‘껑충’…생산성은 떨어져”
팬데믹이 뒤바꾼 고용시장 흐름
‘대면 서비스 활발· 여성 고용 확대’가 전체 노동 공급 늘려
산업별 인력수급 상황은 달라…“사람 구하기 힘들다”
[연합]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과거 경기회복기와 달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상으로 복귀 과정에서 고용률이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여행 등 대면서비스업이 활발해지고 단시간 근로·유연근무제 확대로 근로시간이 줄어들자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전체 고용도 늘어난 영향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BOK이슈노트-팬데믹과 고용 호조 성장(Job-rich recovery)’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4차례 경기회복기에 고용률이 3년간 0.5%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팬데믹 이후 3.2%포인트 상승했다.

보고서는 과거 고용 없는 회복(Jobless-recovery)이 일어났던 것과는 달리 고용이 급증한 현상을 ‘고용 호조 성장’이라고 표현했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장은 이에 대해 “긴축적인 통화정책, 부진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이 강하게 회복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일반적인 경기침체와 달리 팬데믹 경기침체는 우리가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시작됐다. 이로 인해 방역대책 해제와 더불어 노동시장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고용률 급증은 ▷대면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근로시간 감소 ▷근로조건 유연화와 사회적 통념 변화 ▷기업들의 노동 비축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팬데믹 충격 초기 제조업과 비대면 서비스업 취업자수가 1~2% 내외 감소한 반면 대면 서비스업은 4% 넘게 감소했다. 다만 대면 서비스업은 학력이나·기술 요건 등 직업 전문성이 높지 않아 한 달 이내에 빈 일자리가 채워질 확률인 ‘매칭 성공률’이 높다. 또 구직자가 최소한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임금 수준인 ‘유보 임금’도 낮아 매칭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때문에 팬데믹 이후 대면 서비스업이 살아나고 보복 소비가 나타나면서 매칭성공률이 높은 대면 서비스업 취업자수가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제공]

또한 팬데믹 기간 상당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 사회적 통념, 근무 여건과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한 점도 한몫 했다.

이는 자연스럽게 근로시간 감소로 이어졌고, 팬데믹 이후 주당 근로시간이 1.8시간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났으며 상용직 근로자의 초과 근로시간도 감소했다. 2018년 1411명에 불과했던 ‘자발적’ 단시간 근로자는 지난해 2050명으로 크게 늘었다. 전체 단시간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2.1%에서 55.6%로 늘어났다.

유연근무제의 확대도 근로시간을 줄여 결과적으로 취업자수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팬데믹 이전 기혼 여성의 유연근무제 활용 비중은 14.4%(2019년)였으나, 2021~2022년 중에는 20%를 웃돌았다. 특히 재택근무 활용은 팬데믹 이전 대비 7배 이상 증가했다.

이외에도 팬데믹 시기 불가피하게 늘어난 남성의 육아 분담이 부부 맞돌봄 문화로 확산하면서 여성 고용 참여율이 늘었다. 팬데믹 이전 대비 여성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1.7%포인트, 1.3%포인트 상승한 반면 남성 고용률은 0.3%포인트 상승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은 0.7%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육아 부담이 있는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 상승이 무자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기업들은 여전히 인력난을 겪고 있다. 빈일자리율 대비 실업률이 높은 상태로,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럴수록 기업은 빈일자리를 채우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그럴수록 채용에도 신중한 행태를 보인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제공]

보고서는 팬데믹 이후 나타난 고용 호조 성장을 통해 여성의 노동공급 기반이 확대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우려가 컸지만 이를 일부 해소한 것이란 이야기다.

반면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이 빠르게 팽창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인력이 많이 유입된 점, 고용재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전체 노동생산성이 저하된 점은 단점으로 꼽았다. 경기침체 시기 한계기업이 정리되면서 해당 인력이 생산성이 높은 기업으로 이동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대부분 한계기업이 대출로 연명하면서 고용 이동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오 팀장은 “앞으로도 팬데믹이 초래한 노동시장의 구조변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팬데믹 이후 더욱 가팔라진 디지털화와 기술발전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기도 하지만 기존의 많은 일자리를 파괴할 것”이라면서 “구조변화의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양적 고용지표 이외에도 다양한 미시적 정보를 활용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