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적 항공마일리지가 ‘퇴직금’으로…한은 직원, 6년간 1661만점 챙겨 나가
사적 귀속 매년 증가…2018년 237만점 → 2022년 348만점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부.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최근 6년간 한국은행 직원들이 공적 항공마일리지 1661만점을 챙겨 퇴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7월까지 퇴직으로 소멸된 한은 공적 항공마일리지는 1661만 7530점에 달한다. 이는 제주도 1661회, 일본·중국 553회, 북미·유럽을 237회 왕복 가능한 수준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237만4803점 ▷2019년 251만9095점 ▷2020년 279만1787점 ▷2021년 310만3690점 ▷2022년 348만3801점이 사적 귀속됐다.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올해 들어 7월까지도 이미 234만4354점이 퇴직과 함께 소멸된 것으로 확인됐다.

공적 항공마일리지를 가장 많이 가져간 직원은 2021년 5월 퇴직한 A임원(55만3497점)이었는데, 퇴직 직전 5년 동안 34번의 국외 출장을 나갔지만 단 1점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B임원(51만616점), C임원(33만2933점), D임원(30만1188점) 등도 수령 마일리지가 많았는데 B임원을 제외하고는 사용 사례가 한 차례도 없었다.

한 의원은 “예산을 통해 적립되는 공적 마일리지가 사적으로 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한은은 내부규정을 강화해 사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타 기관 사례를 참고해 사회 기부에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