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 한국경제 2.1% 성장...금리인하 하반기부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전망
올해 성장률은 1.3% 추정
집값, 내년 소폭 상승 그쳐

한국 경제를 압박하는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高) 현상이 내년 하반기에야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12일 ‘2024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내년 경제 성장률을 2.1%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2.4%), 한국은행(2.2%), KDI(2.3%)보다 낮을 뿐더러, 잠재성장률(2.0%) 수준이다.

▶내년 저물가·저금리 복귀는 어렵다...성장은 2.1%=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내년 하반기에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글로벌 통화긴축이 종료될 것으로 봤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구조적 변화로 물가·금리·환율의 수준 자체는 과거와 높을 수 있다고 밝혔다. 원/달러 환율 또한 수출 모멘텀 약화, 해외투자 증가 등의 요인으로 새로운 레벨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예상한 올해 성장률 추정치는 1.3%이었다. 올해는 고물가, 고금리 등이 국내 경제를 압박하면서 성장률을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개선된 2.1% 성장을 예상했다.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및 주요국 금리인상 기조 종료, 제조업 경기 개선 등에 힘입어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민간소비는 경기 회복 및 금융여건 완화에 따른 소비 심리 개선과 물가안정에 따른 실질소득 개선 등으로 회복세는 이어갈 것으로 봤다. 다만 억눌렸던 수요가 살아나는 ‘펜트 업 효과’가 약화되고, 고용 및 임금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제약요인으로 내년엔 2.2%(2023년 2.0% 추정)로 완만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오현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024년 국내경제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해 큰 폭의 둔화에 따른 기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크지 않다”며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성장동력 창출 등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 내년 상반기까진 못내린다...환율도 높아= 금리 인하는 물가상승률이 2%대로 안정화 돼야 나타날 것으로 봤다. 하반기는 돼야 금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물가 상승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고 늘어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으로, 현 수준의 기준금리(3.5%)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금리는 미국 정책금리 고점 인식이 확산되고 긴축으로 인한 미국의 성장둔화가 가시화되면서 연중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국고채 3년물(평균)을 기준으로 내년 상반기 3.70%, 하반기 3.33%을 제시했다.

윤석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2024년 이후 물가 압력 완화 및 국내외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시장금리는 상고하저 흐름이 예상된다”며 “정기예금 재유치 경쟁 및 정부의 은행채 발행한도 폐지에 따른 순발행 증가 우려 등은 금리 하락세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의 경우에도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봤다. 원/달러 환율(평균)은 내년 상반기 1293원, 하반기 1268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내외 불안요인들이 이어지고, 연준의 통화긴축과 중국 경기 회복의 불확실성 등으로 원/달러 환율의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집값, 올해보다 소폭 상승...수도권 선호 심화 전망= 주택시장은 올해에 비해 소폭 상승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부채 부담이 크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규제로 가계의 차입여력도 낮은 상황에서 매수세가 크게 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수도권과 지방의 규제 수준이 거의 유사하고, 가격 재하락 우려에 우량자산 선호가 높아지면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서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2~3년 후 공급부족 우려가 심화되며 가격 상승여력이 큰 수도권으로 매수세가 집중되겠다”면서도 “정책 모기지가 축소되고 대출 상환 부담이 큰 상황에서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매수세가 크게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정은 기자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