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협, ‘미래 모빌리티 라운드 테이블’…“양국 파트너십 기회 늘려야”
한-스웨덴 기업 간 교류‧협력 확대 방안 논의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이 11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한 '한-스웨덴 미래 모빌리티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개회사중이다. [무협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한국무역협회(KITA)가 지난 1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비즈니스 스웨덴(Business Sweden)’과 공동으로 ‘한-스웨덴 미래 모빌리티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스웨덴 배터리 기업 간 모빌리티 분야의 협력이 활발한 가운데 양국 기업의 효과적인 기업 지원과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과 LG에너지솔루션·현대모비스·동진쎄미켐·원익피앤이 등 모빌리티 및 배터리 소재‧장비 분야 기업인들이 자리했다. 또 자율 주행, 차량용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우수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대표 등 30여 명이 함께했다.

스웨덴 측에서는 얀 라르손 비즈니스 스웨덴 회장, 볼보, ABB, 폴스타 등 스웨덴 기업인 40여 명이 참석했다. 비즈니스 스웨덴’은 스웨덴 무역투자진흥기구로 전 세계에 44개 지사를 운영하고 있는 민관협력기구다.

행사 주요내용으로는 ‘한국과 스웨덴의 비즈니스 협력 강화 기회’, ‘한국-스웨덴 미래 모빌리티 분야 협력 성공사례’, ‘한-EU 모빌리티 협력과 녹색 공급망 구축’, ‘배터리 분야 규제 및 탄소발자국 관련 동향’ 등 4개 분야가 다뤄졌다. 또 양국 기업의 모빌리티 분야 교류·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또 무협과 비즈니스 스웨덴은 한-스웨덴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정 부회장은 “한국과 스웨덴은 상호 보완적인 산업과 수출 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코로나19로 인한 교역환경 악화와 공급망 위기 속에서도 무역 및 투자 교류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면서 “향후 양자 모빌리티 파트너십이 수소전기차, 자율주행차, UAM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라르손 회장도 “한국과 스웨덴은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들”이라면서 “스웨덴은 2045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수소환원제철 등 산업분야의 탄소 절감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과 지속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행사 이후 비즈니스 스웨덴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한국과 스웨덴 기업 간 비즈니스 교류협력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만기(왼쪽) 한국무역협회 부회장과 얀 라르손 비즈니스 스웨덴 회장이 이날 한-스웨덴 양국 기업간 비즈니스 교류 협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무협 제공]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