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부총재 "아직 추가 긴축 필요한 상황 아냐…가계부채 증가 둔화 예상"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 [사진=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가 국내 금융시장에 압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가 아직은 추가 긴축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고 밝혔다.

유 부총재는 5일 한은 출입기자단 워크숍에서 미국 국고채 금리가 급등하고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 대해 "4일 변동성은 연휴 기간 누적돼 있던 이슈들이 시장이 열리면서 한꺼번에 다 반영되고, 미국의 고금리가 오래 갈 가능성이 합쳐져서 커진 것으로 일시적인 것"이라며 "시장상황 점검회의 하면서 말했지만 이런 변동성이 한 번에 반영돼서 나타나는 것은 문제 없고 이게 계속되면 시장 안정화 조치도 가능하다고 말한 것이다. 어제만큼 변동성이 지속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금융시장도 타이트한데 긴축 수준을 더 높여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아직은 그런 상황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미국과 금리 차이가 나면 환율, 금리 등 시장 가격, 외국인 자금 유출 등 여러 가지가 얽혀서 영향을 받는데, 지금까지는 환율, 금리 등엔 일부 반영돼 적절히 흡수가 된 것 같다는 평가다. 그는 "중앙은행은 경제 주체의 기대를 너무 과도하지 않게 적절하게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런 과정에서 적절하게 흡수돼 시장 가격에 반영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금리에 따라서 국채 금리가 오르는 건 자연스럽지만 변동 속도가 문제라고 봤다. 유 부총재는 "한은이 시장 안정화 조치를 취한다는 건 속도가 너무 빨라서 경제 주체들이 반영하기 힘들 정도가 되면 안 된다는 게 기본 전제다. 전체적인 흐름을 막겠다는 건 없다"면서 "금리, 환율에 대해선 시장 가격이니까 속도를 완만히 해서 경제 주체들에게 시간을 줘서 쏠림이 없게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다시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해선 3분기에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 부총재는 "전체적인 거시경제 여건을 봐야 한다"며 "주택시장에 새로운 기대가 형성되지 않고 경제 여건만 고려한다면 차입비용이나 경제성장 등을 전체적으로 봤을 때 늘어날 가능성보다는 대출 증가 폭이 줄어들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정부 대책으로 수요 측면에서 주택 매수 심리가 되살아났지만 이는 경착륙(하드랜딩)에서 연착륙(소프트랜딩)으로 가면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이지, 지속적으로 가계부채를 부채질하지는 않을 것이란 진단이다. 유 부총재는 가계부채와 집값 등이 '소프트랜딩 중'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대두된 기업부채 문제에 대해선 "자영업자 부채가 늘어나는 건 걱정하고 모니터링하고 있다. 큰 기업들은 기업부채가 있다고 하더라도 회사채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자본시장도 발전돼 있어서 괜찮지만 자영업자 부채 중에서도 기업부채로 분류되는 것이 늘어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레버리지가 커지는 것은 추후 경제 활력을 잃게 하거나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지만 어느 정도 늘어나는 건 경제를 성장시키는 요인도 있다"면서 "늘어나는 자체가 문제는 아닌데 조금 가파르면 문제가 되는 것이다. 과도하게 빌릴 능력이 없거나 경제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커진다면 관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이 엇박자를 낸다는 문제 제기에 대해 유 총재는 "작년에 경착륙 우려가 있어서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는데 F4 회의가 잘 작동했다"며 "최근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과정에서도 F4가 잘 협의하고 있다. 가계부채가 조금 늘었다가 줄어들 것으로 보는데 나름대로 조치를 취하고 있고 공조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금융통화위원이 금융 정책을 비판적으로 보는 듯 하다는 지적에는 "일부 위원들이 가계부채가 빨리 늘어나니깐 나열식으로 얘기하는 것이지 한은을 포함해서 전체 기관에서 공조하고 있다. 한은 전체적인 의견은 아니다. 전체적인 분위기로 보면 공조 자체는 제대로 되고 있다"며 "최근 가계부채 늘어나는 과정에서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기관들이 가진 정책 수단이 조금씩 다르다 보니까 엇박자처럼 보일 순 있지만 그건 아니다. F4 실무자들도 계속 협의를 하고 있다. 가계부채도 조금 낙관적으로 보자면 완만하게 줄어들 걸로 보고 있다. 증가 폭이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줄어들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