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명 연예인만 믿었다가” 또 200억원 적자?…이러다 사달난다
tvN 댄스가수 유랑단. CJ ENM이 큰 기대를 걸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막을 내렸다. [사진, tvN]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대체 언제까지 적자냐?”

“더 나빠지기도 힘들다?”

엔터테인먼트 명가 CJ ENM이 올 3분기에도 200억원이 넘는 적자가 예고됐다. CJ ENM는 2분기 304억원, 올 1분기에도 50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계속 되는 적자 행진에 주가가 바닥을 뚫고 지하로 기어들어가는 형국이다.

기대했던 영화·예능 콘텐츠들이 줄줄이 흥행에 실패 하는 등 콘텐츠 경쟁력 저하가 뼈 아프다. 수많은 히트 콘텐츠를 내놓으며 승승장구 했지만, 이젠 “한물 갔다”는 말이 나온다. 영화는 넷플릭스에 크게 밀리고 있고, 예능 조차도 별 주목을 받고 못하고 있다.

CJ ENM 본사

삼성증권은 3분기 CJ ENM 영업손실이 267억원으로 시장 예상을 또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매출 역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이대로 가면 연간 적자 규모가 1000억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CJ ENM 창사 이래 최악의 실적이다. 비용 절감으로 그나마 하반기 들어 적자폭 감소가 예상되는 게 위안이다.

내놓은 콘텐츠마다 흥행 실패로 충격적인 적자 사태가 이어지고 있고, 주가 역시 폭락 주주들은 아우성이다.

5일 CJ ENM은 전 거래일 대비 4% 넘게 하락, 신저가를 또 경신했다. 12만원 가던 주가가 5만 3100원까지 폭락했다. 믿기 힘든 폭락 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제작비 280억원이 투입, 큰 기대를 모았지만 흥행에 참패한 영화 ‘더 문’

CJ ENM 콘텐츠들은 예술성·상업성에서 모두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명 댄스 가수들을 앞세워 엄청난 물량을 퍼부었던 ‘댄스가수 유랑단’ 시청률은 고작 2~3%대 그쳤고, 특히 280억원이 투자된 영화 ‘더 문’이 흥행에 참패하면서 3분기 적자 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더 문’의 손익분기점은 약 600만 관객. 하지만 겨우 관객 수 50만명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된다. ‘더 문’ 뿐만아니라 CJ ENM가 올해 내놓은 ’유령‘과 ’카운트‘ 등 기대작들도 줄줄이 흥행에 실패했다.

CJ ENM에 대한 전망도 엇갈린다. “더 나빠지기도 힘들다”며 바닥을 딛고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지만, 계속되는 콘텐츠 부문 실적 부진을 고려했을 때 실적 회복이 쉽지 않다는 목소리에 더 힘이 실린다.

실제 매 분기마다 적자폭이 예상보다도 훨씬 컸다. 앞서 증권사들은 CJ ENM 2분기 적자폭을 100억원대로 예상했지만 실제 적자는 300억원이 넘는 등 이 보다도 훨씬 컸다.

무엇보다 콘텐츠의 체질 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OTT, 유튜브, 틱톡 등 숏폼을 통한 콘텐츠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에서 CJ ENM의 콘텐츠는 연예인 이름값만 앞세운 재탕 삼탕식 지루한 콘텐츠가 많다는 지적이다. 근본적인 콘텐츠 경쟁력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