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서 ‘토큰’으로 예금 든다…한은·당국, ‘CBDC 활용성 테스트’ 추진
BIS와 긴밀 협력…공동 보고서 발간
민관 공동 프로젝트…다수 은행·일반 시민 참여 예정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최근 각국 중앙은행들의 디지털화폐(CBDC) 도입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본격적인 CBDC 활용성 테스트에 나선다.

일부 은행에서 일반 국민들도 CBDC로 예금 상품을 가입하는 등 새로운 디지털 지급수단의 효용을 직접 체험해본다는 계획으로, 세 기관은 내년 말 테스트 착수를 목표로 협의체를 구성하고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은은 4일 금융위·금감원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의 ‘CBDC 활용성 테스트’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미래 통화 인프라 구축의 첫걸음으로, 이번 테스트는 세 기관 뿐 아니라 다수 은행이 함께 진행하는 민관 공동 프로젝트다. 또한 국제결제은행(BIS)과도 테스트 기획 단계부터 긴밀히 협력해왔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제공]

한은에 따르면 ‘CBDC 활용성 테스트’는 금융기관 간 자금거래 및 최종 결제 등에 활용되는 ‘기관용(wholesale) CBDC’를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현재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개설한 계좌의 예금(지급준비금)을 활용해 자금거래 및 최종 결제를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형태다.

은행들은 한은이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해 구축한 ‘CBDC 네트워크’ 내에서 일반 국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지급수단(tokenized deposits)을 제공하게 된다. 쉽게 말해 은행에서 현금이 아닌 ‘예금 토큰’을 활용한 예금을 들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이러한 지급수단은 한은이 구축하고 금융위·금감원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통화 인프라 내에서 안전하게 유통된다.

이를 통해 일반 국민들은 일부 활용사례 테스트에 제한적으로 참여해 CBDC의 효용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얻는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이번 테스트 이후 관련 제도적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나가면서 테스트의 단계적 확대 여부를 추후 결정할 예정이다.

특히 BIS는 테스트 초기 준비단계부터 CBDC 등 미래 통화 시스템 관련 연구·개발 경험을 적극 공유했다. BIS 혁신허브 및 통화경제국 소속 전문가들은 ‘CBDC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방안에 대한 기술 자문을 제공했고, 그간의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은행과 금번 테스트의 의의 및 세부 설계 모델 등을 포함한 보고서를 공동 발간하기도 했다.

명동 한국은행 본부 전경. 문혜현 기자

한은과 금융위·금감원은 우선 테스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유관기관 등과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시스템 개발을 위한 사업자 선정 절차는 이날부터 진행된다. 10월 중 시스템 개발 사업자 및 은행 대상 설명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후 세 기관은 테스트 대상 구체적 활용 사례, 참가 은행 등 세부 사항을 오는 11월 말에 공개하고, 일반 국민 참여 테스트는 시스템 구축 등의 준비를 거쳐 내년 4분기경 착수할 계획이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테스트는 IT 기술 발전을 반영한 미래 통화 인프라의 시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다양한 혁신적 지급 및 금융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틀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토큰 증권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금융상품이 보다 안전한 지급수단을 통해 효율적으로 거래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번 테스트는 우리 금융·경제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CBDC 설계모델을 탐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CBDC의 본격 도입을 의미하지 않으며, ‘CBDC 네트워크’ 또한 최종 확정된 설계모델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