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민간공원 특례사업 위치도[광주시 제공]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시는 도심 온도를 낮추고 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생활권, 도시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숲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광주의 경우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429곳, 376㏊ 면적의 도시 숲, 산림공원이 조성됐다.
생활환경 숲 146㏊, 녹색 쌈지 숲 133㏊, 산림공원 78㏊, 미세먼지 차단 숲 11㏊ 등이다.
총 면적 기준으로 광주는 부산(229㏊), 대구(223㏊), 대전(197㏊), 서울(119㏊) 등에 앞서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았다. 광주에서는 민간 공원 특례 사업, 재정공원 조성 사업 추진으로 도심 공원도 대폭 늘어난다.
민간 공원 사업은 건설사가 땅을 매입한 뒤 공원을 조성해 광주시에 기부하고 비공원 시설 면적에 아파트 등을 지어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9개 공원·10개 사업지구의 공원 면적은 714만㎡(714㏊)에 달한다.
시가 예산을 투입하는 15개 재정 공원(137만8000㎡)까지 더하면 852㏊ 규모의 공원이 새롭게 조성된다.
광주시는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 시설 일몰제 적용을 앞두고 이들 사업 대상지의 실시계획 인가를 완료했다.
공원용지로 도시계획 시설 결정이 난 지 20년이 지나 사업을 시행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일몰제 적용 대상이었던 공원 땅을 지켜냈다.
광주 대표 명산이자 국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무등산 정상 복원도 지역의 주요 환경 현안으로 떠올랐다.
광주시는 1966년 방공포대 주둔 이후 일반인 접근이 통제됐던 무등산 정상부 가운데 인왕봉을 23일부터 상시 개방했다.
국방부에서 추진하는 방공포대 이전 관련 용역의 윤곽이 드러나면 그동안 훼손된 정상 복원 논의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기후 대응, 경관 보호, 역사·문화 등 기능별로 도시 숲과 공원을 지속해서 확충할 방침이다.
송용수 광주시 기후환경국장은 "자체 사업은 물론 산림청 등을 통해 국비도 적극적으로 확보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조성 중인 숲, 공원은 물론 이미 완성된 곳에 대한 관리도 자치구와 함께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