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사망자 37만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오미크론 변이 확산…고령화 영향도
[통계청 자료]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지난해 사망자 수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았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7만2939명이었다.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숫자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17.4%(5만5259명)로 높았다. 1973년(27.3%)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인 조사망률은 727.6명으로 전년보다 17.6%(108.7명) 증가했다.

사망자 수와 조사망률은 2010년 전후부터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작년 특히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주된 원인은 코로나19였다.

지난해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3만1280명으로 전년보다 2만6250명(521.9%) 늘었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61.0명으로 전년보다 51.2명(552.8%) 증가했다.

월별로는 3월(1만955명)과 4월(6875명)에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많았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작년 2월부터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3월과 4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많이 나왔다"며 "폐렴 등 코로나와 관련성이 있는 호흡기계 질환의 사망자도 늘면서 전체적으로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사망자가 주로 늘었다.

특히 80세 이상 사망자가 20만49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26.3%로 높았다.

70대 사망자는 7만6621명, 60대 사망자는 4만8998명이었다. 증가율은 각각 11.3%, 10.2%였다.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80세 이상(9237.2명)이 가장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사망자가 19만6465명, 여자 사망자가 17만6474명이었다.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남자(769.2명)가 여자(686.2명)보다 높았다.

임 과장은 "올해에는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많이 줄어 작년보다 사망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고령자 증가에 따른 장기적인 사망자 수 증가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