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5년 '세계 환경의 날' 한국 개최…한화진 장관, 美 뉴욕서 유치 확정
韓 2025년 제54차 세계 환경의 날 개최국 확정…28년 만에 성공
'2023 기후목표 정상회의' 참석 차 방미 중 한화진 장관 유치 확정
"플라스틱 오염 종식 중요성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기회"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0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 UN본부에서 열린 ‘UN기후목표정상회의’ 고위급세션에 참석해 협력 및 이행을 통한 탈탄소화 가속화 방안에 대해 국가발언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우리나라가 2025년 세계 환경의 날 개최국으로 선정됐다. 한국에서 세계 환경의 날이 열리는 것은 지난 1997년 이후 28년 만이다.

환경부는 20일 오후(뉴욕 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2023 기후목표 정상회의'에 참석을 위해 방미 중인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잉거 안데르센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과 등 고위급 면담을 거쳐 2025년 제54차 세계 환경의 날 개최국 선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2023 기후목표 정상회의는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의욕을 높이고 기후 행동을 증진하기 위해 제78차 유엔총회 기간(9월 5일~26일) 중 개최된다.

매년 6월 5일인 세계 환경의 날은 환경 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노력을 다짐하기 위해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제정된 국제연합 기념일이다. 각국 주요 인사들, 국제기구 대표, 기업 및 전 세계 시민단체 대표들이 참석해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을 다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 행사다. 우리나라는 1997년 6월 5일 서울에서 제28차 세계 환경의 날 기념식을 치른 이래 28년 만에 국제적인 환경 행사를 다시 유치하게 됐다.

특히 2025년 환경의 날 행사는 2024년 하반기 국내 유치가 확정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 이후 이듬해 개최되는 만큼, 플라스틱 오염 종식의 중요성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구체적인 국내 개최 장소 등 세부적인 행사 내용은 향후 유엔환경계획 측과 협의를 통해 2024년 중 결정된다. 안데르센 사무총장은 "강력한 협력 관계가 환경 분야 다자협력의 근간"이라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해 2025년 환경의 날을 유치한 한국 측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지난 6월 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린 올해 세계 환경의 날 주제는 '플라스틱 오염 퇴치'였다. 유엔환경계획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매년 4억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는데 이 가운데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의 비율은 10% 미만에 그친다. 매년 1900만~2300만톤의 플라스틱이 호수나 강, 바다로 흘러 들어가며 특히 직경이 5mm 미만인 미세플라스틱은 음식, 물, 공기에 침투한다.

2025년 세계 환경의 날 유치에 대해 한화진 장관은 "플라스틱 협약 체결이 예정된 2025년은 지구 환경 보전의 분수령"이라며 "2025년 세계 환경의 날 개최국으로서 플라스틱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