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노인일자리 안전사고 작년에만 1658건...관리 인력은 태부족
담당자 1명당 참여노인 100~140명 맡아

18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언더스탠드 에비뉴 중앙광장에서 열린 2023 노인일자리주간 현장 국민참여관에서 방문객들이 일자리 상담 및 프로그램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노인들이 다치는 사고가 한 해 1700건 가량으로 늘었다. 하지만 이들 노인들을 관리하는 담당 인력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정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중 발생한 안전사고는 1658건이다. 하루 4.5건의 사고가 발생하는 셈이다. 이는 2018년 964건에 비해 72% 증가한 것이다. 복지부 노인일자리 사업 규모가 2018년 54만여개에서 2022년 88만여개로 대폭 늘어남에 따라 안전사고도 많아졌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발생한 안전사고 7187건 중 가장 많은 유형은 골절로 전체의 56.2%(4036건)였다. 타박상이 11.9%(853건), 염좌가 6.1%(442건)으로 뒤를 이었다. 사망사고는 33건이었다. 노인일자리 참여자 1만명당 사고 발생 건수를 일자리 유형별로 보면 사회서비스형이 23.5건, 공익활동이 23.1건, 시장형사업단이 14.4건이었다.

이처럼 안전사고가 늘어나고 있지만 사업 참여자들을 관리할 인력은 부족하다.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에서 참여자를 모집·교육하고 활동을 관리하는 담당자 1인이 맡고 있는 참여노인의 수는 올해 기준 유형별로 100∼140명이었다.

한 의원은 "담당자 1명이 많게는 140명의 참여자를 관리하는 상황이어서 참여자의 안전 확보가 쉽지 않다"며 "어르신들의 안전한 사회활동을 위해 담당 인력을 확충하고 일자리 유형별로 안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