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텔스 전투기 F-35B. [연합] |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미국의 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B가 미국 본토 상공에서 비행하던 중 사라졌다.
미 당국은 극적으로 실종 하루 만에 잔해 일부를 찾아 '실종 사태'를 일단락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당 8000만 달러(약 1060억원)가 넘는 최첨단 무기 체계를 허무하게 잃어버릴 수 있었다는 점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는 조롱이 이어졌다.
18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F-35B 한 대가 전날 오후 사우스 캐롤라이나주에서 비행 도중 사라졌다.
고장 여부 등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조종사는 긴급 탈출했다. 사고 당시 전투기가 자동조종 모드로 비행하고 있던 만큼, 한동안은 빈 상태에서 비행을 이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찰스턴 기지는 주민들에게 실종 전투기 소재와 관련한 정보를 알려달라고 요청하는 글을 SNS에 올렸다.
기지 측은 "대중의 협조를 요청한다"며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갖고 있다면 전화해달라"며 전화번호도 썼다.
전투기는 실종 다음 날인 18일 기지에서 두 시간 거리인 지점에서 잔해 일부가 발견돼 이번 실종 건은 해프닝으로 마무리됐다.
찰스턴 기지는 SNS에 올린 글에서 전투기 잔해 일부를 찾았다며 "지역, 카운티, 주 당국의 헌신과 지원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F-35B는 기본형인 F-35A를 기반으로 해 만들어진 항공기다. 미 해병대에서 주로 운용하는 이 하공기는 이륙 거리가 짧고 수직 착륙 기능이 있어 미국의 여러 동맹국이 눈독을 들이는 중이다.
F-35B 전투기는 최첨단의 스텔스 기능을 갖췄다. 이 기능 탓에 수색에 난항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더로 탐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SNS에서는 8000만 달러 짜리 전투기를 허무하게 분실할 뻔 한 데 대해 조롱의 반응도 나왔다.
일부는 "쿠바로 갔다고 한다", "보상금이 얼마인가", "다른 국가가 이미 F-35B를 찾아 보유하고 있으면 어쩔려고 그러는가", "수천만 달러 짜리 전투기를 이렇게 허무하게 잃어버리다니" 등 의견을 보였다.
낸시 메이스 하원의원(공화)도 "어떻게 F-35를 잃어버릴 수 있는가. 어떻게 추적 장치조차 없을 수 있는가"라고 따졌다.
yul@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