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손실진입’ ELS 잔액 7兆…이중 86%가 내년 상반기 만기 [투자360]
금감원, 상반기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
“홍콩H지수 변동성 확대…손실 가능성 모니터링 강화”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지난 6월 말 기준 손실 발생 구간(녹인·Knock-In)에 진입한 주가연계증권(ELS) 잔액이 7조원대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3년 상반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말 기준 녹인이 발생한 ELS 잔액은 7조458억원이다. 전체 파생결합증권 잔액(96조3000억원)의 7.3% 수준의 규모다. 다만 전년 말 기준 녹인 발생 잔액(7조3000억원)보다는 3000억원 감소했다. 일부가 만기 도래에 따른 상환이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작년 홍콩H지수 약세에 따라 주로 홍콩H지수를 편입한 ELS에서 녹인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신규 녹인이 발생한 규모가 7조336억원, 올해 상반기에 녹인이 발생한 금액이 121억원으로 집계됐다. 녹인 발생 ELS 잔액의 대부분(6조원·85.6%)이 내년 상반기에 만기를 맞는다.

[금융감독원 자료]

국내 판매되는 지수형 ELS 상품은 일반적으로 기초자산 가격이 6개월 단위로 돌아오는 조기 상환 기준을 충족했는지를 평가해 조건 충족 시 조기 상환하도록 설계된다. 만기 전까지 기초지수가 회복되면 만기 상환 조건에 따라 원금 손실을 피할 수 있지만, 만기 시 기초자산 가격과 상환 조건에 따라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투자에 유의가 필요한 상품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ELS 투자자들의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최근 홍콩H지수는 중국 부동산발(發) 경기 둔화 및 중국 경제 불확실성 심화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향후 H지수 추이 및 녹인 발생 관련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상반기 기준 ELS(ELB 포함)와 기타연계증권(DLS·DLB)을 합산한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31조2000억으로 전년 동기(29조3000억원) 대비 1조9000억원 증가했다.

상환액은 35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7조6000억원) 대비 17조9000억원 늘었다. 상환액이 크게 증가한 것은 상반기 글로벌 주요 증시가 상승하며 조기상환 규모가 늘었기 때문이다. 상환액이 발생액을 상회하면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은 6월 말 기준 96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02조2000억원) 대비 5조9000억원 감소했다.

상반기 중 ELS 발행액은 21조9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조7000억원 감소했다. 원금지급형 ELS 발행액(5조9000억원)은 작년 하반기 증시 부진 등으로 크게 감소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글로벌 지수가 회복, 신규 발행(16조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18조1000억원) 수준으로 회복됐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