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명 중 약 6명 대기업 ‘호감’…“수출 잘하지만 일자리 더 늘려야”
전경련, ‘대기업 국가경제 기여도 인식’ 조사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국민의 약 60%는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4명은 10년 전에 비해 호감도가 상승했다고 답변, 대기업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대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소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에는 ‘호감(매우 호감 및 다소 호감)’이 58.3%로, ‘비호감(다소 비호감 및 매우 비호감)’ 8.6%보다 약 7배 높았다.

10년 전에 비해 대기업 호감도가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41%였다. ‘나빠졌다’고 답한 비율은 9.6%, ‘변화없음’은 49.4%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100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경련]

응답자들은 대기업의 기여도가 가장 큰 분야로 ‘수출’(90.7%)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경제성장에 기여한다(88%) ▷투자에 기여한다(74.7%) ▷일자리 창출(고용)에 기여한다(71%) ▷혁신에 기여한다(71%) ▷국민소득 증대에 기여한다(62.9%) 등 순이었다. 대기업이 우리나라의 ‘경제 대들보’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이 사회적 책임 수행에 기여한다고 답한 비율은 49.7%, 준법윤리경영 확산에 기여한다는 응답율은 36.1%로 집계됐다. 수출·투자·고용 등 경제적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근 대기업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도입에 앞장서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앞으로 대기업이 가장 강화해야 하는 역할로 ‘일자리 창출’(24.2%)을 꼽았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우리 사회의 취업난이 지속되고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다 보니, 대기업 일자리에 대한 국민적 수요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밖에 대기업이 강화해야 하는 역할은 ▷수출투자 확대(16%) ▷사회적 책임 강화(16%) ▷근로자 임금·복지 향상(15.7%) ▷준법·윤리경영 강화(15.1%) 등의 순이었다.

[헤럴드경제DB]

대기업의 수출·투자·고용 확대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으로는 ‘노동시장 유연화’(30.7%) 정책이 꼽혔다. 이어 ▷규제 개혁(26%) ▷강성노조 문화 개혁(19.2%) ▷반기업 정서 해소(12.8%) ▷세제 지원(10.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상윤 전경련 CSR본부장은 대기업에 대한 국민 인식이 좋아진 이유에 대해 “우리나라 대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혁신,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전 등의 요인도 있겠지만, 기업인들의 활발한 소통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법·제도적 뒷받침과 함께 많은 관심과 응원이 이어진다면, 대기업들이 더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ESG경영을 실천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