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0대까지 희망퇴직 받는 시중은행
“퇴직금 두둑히 받고 인생2막”
환경변화 인력 재배치 영향도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내고 있는 가운데 만 30대 젊은 행원들은 은행을 떠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퇴직 조건이 좋은 데다 이른 퇴직 결정을 통해 ‘인생 2막’을 준비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한은행 노사는 희망퇴직 조건 등을 합의하고 내주 초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부지점장 이하 모든 직급의 근속연수 15년 이상, 1983년생 이전 출생자가 희망퇴직 대상이다. 생일이 지나지 않은 직원의 경우 만39세까지 대상이 되는 것으로 역대 희망퇴직 대상 중 가장 낮다. 지난 1월 희망퇴직 당시 최고 출생연도 조건은 1978년이었다.

대상 연령이 낮아진 대신 고연령 지점장은 이번 희망퇴직에서 제외됐다. 희망퇴직 대상자는 연차와 직급에 따라 9∼36개월 치 월평균 급여를 특별퇴직금으로 수령하고 이달 말 떠난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달 하반기 희망퇴직을 마쳤다. 만 15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일반 직원들이 대상으로 6월 16일부터 나흘간 신청을 받았다. 60명이 지난달 말 짐을 싼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퇴직금은 1968∼1971년생은 28개월 치, 1972년생 이후 출생자는 연령에 따라 최대 24개월 치 월평균 급여다. 1968∼1971년생 퇴직자에게는 자녀학자금, 의료비, 재취업·전직 지원금도 지급됐다.

시중은행들이 젊은 직원까지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시킨 것은 디지털전환 등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인력 재배치 차원이다. 인원을 줄이면서도 신규 직원 채용을 하기 위해서는 희망퇴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당국도 은행들이 신규채용에 나서주길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다.

여기에 젊은 직원들이 일찌감치 새 길을 찾아나서려는 수요도 배경이 됐다. 신한은행 또한 젊은 직원들의 요구에 따라 이번 희망퇴직에 만 39세까지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내면서 퇴직 조건이 한층 좋아진 것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위원회의 ‘5대 은행 성과급 등 보수체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2022년 1인당 평균 총퇴직금은 5억40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3000만원 증가했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시중은행 반기보고서에는 5억원 이상을 수령해 공시 대상에 희망퇴직자들이 다수 포함된 상태다. 4대 은행의 보수총액 상위 5명은 모두 퇴직자들의 몫일 정도다.

젊은 직원들이 은행을 떠나면서 전반적으로 은행도 고령화를 맞고 있는 분위기다. 각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4대 금융그룹(KB금융·신한·하나·우리) 임직원(8만6700명) 중 50세 이상(2만700명)의 비중은 약 23.87%로였다. 2년 전인 2020년(22.32%)과 비교해 1.55%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4대 금융의 30세 미만 임직원 비율은 9.99%에서 9.85%로 0.14%포인트 줄었다. 30~50세 중간 연령대의 비율 또한 67.6%에서 66.2%로 1.3%포인트 감소, 50세 이상의 비율이 유일하게 증가했다.

서정은 기자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