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눈에 읽는 신간

▶왜 우리는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가(앤드루 슈툴먼 지음·김선애·이상아 옮김, 바다출판사)=달에서 반경 1m의 납덩이와 10㎝의 납덩이를 20m 높이에서 떨어뜨리면 어느 쪽이 먼저 땅에 닿을까? 수세기 전 갈릴레오가 두 납덩이가 동시에 떨어진다는 것을 증명했지만 우리는 아직도 잘못된 직관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세상을 갉아먹는 백신반대론, 기후 변화 부정론, 지구편평설, 창조설 등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이러한 주장이 우리의 직관에 잘 부합하기 때문에 여전히 세상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여러 심리학 실험을 통해 세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방해하는 12가지 직관 이론을 파헤친다. 그러면서 우리가 세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선 단순히 개별 믿음이나 생각을 바꾸는 대신 그 생각이 일어나게 하는 기본 개념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직관 이론을 반영하지 않은 교육은 사물의 진정한 현상을 가르쳐주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오독의 즐거움(남궁민 지음, 어바웃어북)=책을 읽을 때마다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이 문장은 어떤 함의를 갖고 있는지 늘 이미 정해져 있을 ‘정답’을 찾게 되는 게 인지상정이다. 기자 시절 어쩔 수 없이(?) 정답을 찾는 책읽기를 해왔던 저자는 ‘오독’을 통해 책 읽기의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당찬 선언을 한다. 저자는 46권의 명저를 꼽아 저자의 의도대로 읽는 것을 단호히 거부하고, 현재 한국을 사는 우리의 사정들을 투영해 책을 읽는다. 예컨대 인류 진화의 역사를 담은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보며 주가조작과 같은 사기 피해를 입는 ‘호구 사피엔스’를 생각해보고, 워런 버핏의 책에서 그가 남긴 명언들을 지금의 국제 금융시장에 대입해보면서 허점이 많다고 지적하는 식이다. 또 마이클 샌델의 저서 ‘공정하다는 착각’을 통해서는 한국 교육 시스템의 부조리를 들춰본다.

▶의료 비즈니스의 시대(김현아 지음, 돌베개)=며칠 째 계속되는 두통 때문에 병원을 찾은 A씨. 병원에 갔더니 원인을 알아봐야 한다며 혈액 검사에 뇌 CT까지 다양한 검사를 하라고 한다. 하지만 검사 결과 및 A씨의 진짜 병명을 들을 수 있는 진료 시간은 고작 3분. 진단 결과를 빠르게 설명하는 의사의 말을 이해할듯 말듯 하려는 찰라, 진료 시간이 끝난다. 최근에 병원에 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A씨와 같은 경험을 했으리라. 현직 내과 의사인 저자는 기본적인 의료수가가 낮은 현 의료 시스템상 의사들은 더 많은 환자를 봐야 손해를 보지 않기 때문에 이같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일갈한다. 부족한 수익은 검사로 보충하다 보니 별게 아닌 병이라도 병원만 가면 각종 검사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외과 등 필수 의료 의사들이 ‘조용한 사직’을 하는 이유도 이같은 의료 시스템 때문이다. 저자는 자본 종속, 기술 중독, 병원의 과도한 이익추구, 정부의 방치 등을 원인으로 주목하면서 국내 의료 시스템의 문제를 조목조목 진단한다.

▶선거 이기는 인사, 정권 내주는 망사(백대우 지음, 글마당)=‘인사가 만사’라는 이야기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통용되는 진리다. 인사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요구를 경청하고 있다는 점을 알리는 도구다. 하물며 국가 원수라는 대통령이 행하는 인사의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역대 정권이 받아든 ‘선거 성적표’를 분석하니 국민은 정권에 힘이 돼 주고 싶을 때 표를 줬고 정권에 들어간 힘이 과도하다고 느꼈을 땐 그 오만함을 심판했다. 우리 정치사에서 정권 스스로 ‘오만함’을 빼지 못했을 때 국민은 투표장에 달려가 야당에게 표를 몰아줬다. 언론인으로서 정치부에 오래 몸담았던 저자는 신간을 통해 “한 번만 잘못하면 모든 것이 허사로 돌아가기도 했다”며 인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윤석열 정부의 초기 인사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당시 취재했던 경험을 살려 인사와 관련된 각종 배경 지식 등을 쉽게 풀어 썼다. 특히 문재인 정부 때 발탁된 윤석열 대통령이 야당 대선후보가 돼 정권교체까지 하게 된 상황을 상세하게 들여다봤다.

re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