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전자, 2분기 영업익 7419억원…매출은 역대 2분기 중 최고치
2분기 확정실적 발표
매출 19조9984억·영업익 7419억원
H&A사업본부 영업익 전년比 40%↑
LG트윈타워 전경[LG전자 제공]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LG전자는 27일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9조9984억 원, 영업이익 741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역대 2분기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LG전자 측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회복 지연 및 경쟁 심화에도 사업 구조적 측면에서 전장, 냉난방공조 등 기업간거래(B2B) 비중이 지속 확대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 연초 진행한 희망퇴직 등 인적 구조 선순환 관련 비경상 요인과 제너럴모터스(GM) ‘쉐보레 볼트 EV’ 리콜 재료비 상승분 등 일회성 비용 영향이라고 LG전자는 설명했다. 그럼에도 콘텐츠·서비스 등 플랫폼 기반 사업 성장과 전사 워룸(War Room) 태스크를 앞세운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이다.

오는 3분기에는 보다 정교한 수요예측을 기반으로 고객 니즈를 조기에 포착하고 시장 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온라인브랜드샵을 앞세운 소비자직접판매(D2C) 전략을 강화하는 등 사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수익구조 확보에도 주력한다.

가전 등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7조 985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 가량 늘어난 6001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수요 둔화 및 업체간 경쟁 심화에도 고효율·친환경을 앞세운 B2B 공조 사업 성장이 이어졌다. 원자재비, 물류비 등 원가구조 안정화 등도 높은 수익성 달성에 기여했다.

LG전자는 가전 사업의 B2B 영역에 해당하는 냉난방공조(HVAC) 사업에서 나타나는 전기화(Electrification) 트렌드를 미래 성장의 기회로 보고 있다. 북미, 유럽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친환경 및 에너지 절감 요구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는 가운데 히트펌프, ESS 등 전기·전자 영역에서 확보하고 있는 다양한 고효율 기술을 활용해 성과를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3분기부터는 초(超)개인화와 구독을 접목한 업(UP)가전 2.0을 출시, 고객 관계 중심형 사업을 추진한다. 서비스 사업모델 접목으로 가전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는 동시에 생산, 구매, 물류 등 운영 전반의 효율을 높이는 노력을 지속한다. 시장 내 수요가 높은 볼륨존 라인업도 지속 확대한다.

HE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3조 1467억 원, 영업이익 1236억 원을 기록했다. 유럽 내 지정학적 이슈 등으로 인한 주력 시장의 수요 둔화에 대응, 효율적 사업 운영 기조를 이어갔다.

3분기에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사업으로의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낸다. 웹(web)OS TV 라인업을 더욱 강화해 사업 모수(母數)를 확보하고, 콘텐츠 경험 확장을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또 세계 최초 무선 올레드 TV인 9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을 본격 출시하는 등 초대형 프리미엄 TV 시장 리더십 또한 공고히 한다.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Go’ 출시 국가는 3분기 중 해외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자동차 부품 등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2조6645억 원, 영업이익 898억원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2분기 가운데 최대치를 달성했다. 그러나 지난 2021년 발생한 GM ‘쉐보레 볼트 EV’의 리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차량 부품 재료비 증가와 관련된 일회성 비용 1510억 원을 2분기 실적에 반영하게 돼 최종적으로는 영업손실 612억원을 기록했다.

VS사업본부의 수주잔고는 올 연말 기준 10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 측면에서 매출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LG전자는 차량 전동화, 커넥티드 서비스 등 트렌드에 대응해 자율주행, SW 솔루션, 콘텐츠 등 미래 모빌리티 영역의 신규 기회를 적극 모색하는 한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e파워트레인, 램프 등 3대 축으로 이어지는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성장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B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1조 3327억원, 영업이익 26억원을 기록했다. 장기간 이어지는 IT 제품 수요 감소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다소 줄었다.

다만 3분기 들어서는 IT제품의 수요가 상반기 대비 점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게이밍 특화 기능, 올레드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한 프리미엄 모니터 및 노트북 제품의 판매를 적극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상업용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버티컬(Vertical, 특정 고객군)별 맞춤 솔루션을 앞세워 추가 성장의 기회를 모색해 나간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